인천 강화서 고려시대 유물 발견돼

  • 강화 중성(中城)에서 치(雉)와 외황(外隍) 유적 처음으로 드러나

인천시 강화군에서 고려시대 유물이 발견됐다.

강화 중성(中城)에서 치(雉)와 외황(外隍) 유적이 처음으로 드러난 것이다.

강화군 향토유적 제2호인 중성은 흙을 다져 올린 8.1㎞ 길이 토성(土城)이다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한백문화재연구원(원장 서영일)은 6일 소규모 국비지원 발굴조사 지역인 인천시 강화군 옥창돈대 인근 옥림리 부지에서 강화 중성(中城)에 맞닿아 축조한 목책 치(雉)와 성벽 바깥쪽에 판 물 없는 도랑인 외황(外隍) 유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곳은 강화 고려궁지에서 북동쪽으로 약 2㎞ 떨어진 옥림리 주택부지로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강화중성에서 나온 치와 외황 유적. [사진=한백문화재연구원 제공]


치(雉)는 성벽 방어시설 중 하나이고 황(隍)이란 해자 중에서도 물채움을 하지 않는 방어시설을 말하는데 성벽 안쪽이나 밖이냐에 따라 내황(內隍)과 외황으로 나뉜다.

고려는 몽골 침입을 피해 1232년 강화로 천도한 뒤 1270년까지 머물렀다. 왕실은 방어를 위해 궁궐 바깥에 내성(內城), 중성, 외성(外城)을 쌓았다.

치는 성벽 일부를 바깥으로 돌출시킨 구조물로, 목책 구덩이 9기와 두 겹으로 두른 외황, 초소가 나타났다.

목책 구덩이는 능선을 따라 한 줄을 이뤘는데, 축조 이후 나무 기둥을 뽑아내기 위해 인위적으로 구덩이를 파낸 뒤 흙으로 메운 것으로 조사됐다.

'고려사절요' 고종 46년(1259) 6월 기록에 따르면 몽골은 고려와 종전을 위한 강화협정을 맺으면서 강화도성을 허물라는 조건을 내세웠고, 이후 몽골 관리가 성벽을 파괴하는 과정을 감시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문헌 기록처럼 강화중성 일부인 목책을 인위적으로 허물고 메운 흔적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외황은 풍화암반층을 L자형으로 판 뒤 바깥쪽을 돌과 흙을 다져 올린 유적과 U자형으로 파내고 흙을 바깥에 쌓아 올린 유적 두 개가 드러났다.

한편 연구원은 조사 지역에서 신라 토기를 버린 폐기장도 확인돼 신라시대부터 군사 목적 방어시설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