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인]
올해 설 상여금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람인은 기업 855개사를 대상으로 ‘설 상여금 지급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47.1%가 지급 계획이 없었다고 11일 밝혔다.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이유는 ‘선물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서’(32.8%,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지급 여력이 부족해서’(29.3%), ‘상여금 지급 규정이 없어서’(26.6%), ‘회사 경영 실적이 나빠져서’(22.1%), ‘지난해 성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서’(12.2%), ‘연말성과급을 지급해서’(5.7%) 등 이유를 들었다.
지급하는 기업(452개사)의 1인당 평균 상여금은 71만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평균 78만원, 작년 평균 76만원으로 지속적으로 줄었다.
지급 방식은 ‘별도 상여금’(50%)으로 지급하거나 ‘정기 상여금’(50%)으로 지급했다.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이유로는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49.3%,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돼 있어서’(40.5%), ‘직원들의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16.8%), ‘설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13.9%), ‘지난해 거둔 실적이 좋아서’(6%) 등이었다.
기업이 지급 예정인 선물 품목으로는 ‘햄, 참치 등 가공식품’(51.7%,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배, 사과 등 과일류’(17.5%), ‘샴푸, 화장품 등 생활용품’(16.5%), ‘상품권’(16.2%), ‘한우, 갈비 등 육류’(8.7%), ‘홍삼 등 건강보조식품’(7.4%) 등이 뒤를 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