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소속 손혜원 의원의 목포 근대역사문화 공간 내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 수사관들이 지난달 19일 전남 목포시 행정타운에서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상자에 담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반면 해당 지역에 문화재로 지정된 부동산을 보유한 손 의원의 보좌관 배우자는 목포시에 팔지 않겠다고 했다.
18일 목포시에 따르면 손 의원과 함께 근대역사문화공간의 부동산을 물색하러 다닌 것으로 알려진 정씨가 문화재로 지정된 부동산을 시에 팔 것인지를 내달 감정가가 제시되면 결정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정씨는 목포시의 청소년 목포의 청소년 관련 사단법인 대표인 60대 여성으로 가족이 해당 지역에 최소 7채의 건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인물이다. 정씨와 가족은 목포 만호동 일대에 10필지 7채의 건물을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10필지 중 5곳은 정씨 명의로, 5곳은 가족 명의로 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는 문화재로 지정돼 지자체가 사겠다고 할 경우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해당 지역이 논란이 일어 알려지면서 개발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아져 있어 문화재 구매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목포시는 판단하고 있다.
목포시에 따르면 손 의원 보좌관 측은 매매를 거부하겠다고 했다. 이는 투기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검찰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지정 문화재를 팔 경우 의혹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소유자 동의 없이 강제 수용은 불가능한 가운데 지금까지 일부 소유자는 판다는 입장을, 일부는 팔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목포시는 밝혔다.
문화재매입비로 책정된 55억원을 기한인 3년내에 쓰지 못할 경우 불용 처리돼 예산을 반납해야 한다.
목포시는 올해 근대역사문화공간 조성에 11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으로 여기에는 문화재청이 지원한 국고 예산 55억원이 포함돼 있다. 사업 예산의 50%는 국고에서 25%는 도, 25%는 시에서 지원한다. 시는 올해 110억원 중 55억원을 문화재 매입에 투입할 예정이다. 전시 체험 등 교육적인 활용을 위한 시설을 만들고 공적 활용을 위해 지정된 근대건축자산인 문화재를 매입하려 하는 것이다. 나머지 예산은 종합정비계획 수립, 기초학술조사, 등록문화재 실측설계, 정비 등에 쓰일 방침이다.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된 전북 군산이 올해 사업 예산 12억4000억원, 경북 영주가 14억원인데 비해 목포의 사업 예산이 상대적으로 큰 것은 기존에 정부 사업을 통해 정비가 거의 끝나 있는 두 지역에 비해 처음 사업에 돌입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목포시의 설명이다.
문화재청은 올해 근대역사문화공간에 지정된 3곳에 이어 5곳을 추가로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목포시 관계자는 “올해 근대역사문화공간에 쓸 110억원 중 55억원으로 지정 문화재를 매입하려 한다”며 “내달 감정가가 나오게 되면 이를 제시하고 보유자와 거래를 위한 협상에 들어가게 된다”고 말했다.
손혜원 의원실은 감정가를 보고 매매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정씨와 손 의원이 관계를 끊었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손 의원의 조카가 구입한 부동산 세 채를 소개해 준 것은 맞다고 밝혔다.
김성회 손혜원 의원실 보좌관은 "손 의원의 조카에 부동산을 소개했던 정씨는 현지에 거주하고 있는 분으로 원래의 취지와 투기 목적으로 부동산을 구입하고 있다는 소문이 있는 등 어긋나게 행동을 해 연락을 끊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