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 2019'에서 관람객들이 삼성전자의 8K 해상도 상업용 디스플레이 신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지난해 글로벌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며 10년 연속 선두 자리에 올랐다.
18일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8년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판매량 기준 25.8%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1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차별화된 솔루션과 혁신적인 제품으로 시장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에도 리더십을 유지해 왔다.
아날로그 감성의 판서 기능과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신개념 회의 솔루션 '삼성 플립', 인공지능 화질 엔진 '퀀텀 프로세서 8K'를 탑재한 '퀀텀닷(QLED) 8K' 사이니지, 양면형 세미아웃도어 사이니지, SoC(System on Chip) 기반으로 PC가 필요 없는 콘텐츠 관리 솔루션 등이 삼성전자의 대표적 업계 혁신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기술 기반 현존 최고의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고 있는 '더 월(The Wall)', 시네마 LED ‘오닉스’ 등 차세대 LED 디스플레이 시장을 적극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김석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 부사장은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제품과 솔루션을 바탕으로 매장·공항·경기장 등 다양한 상업용 공간을 적극 공략해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글로벌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2016년 이후 매년 20%씩 상승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04억 달러(약 11조8050억원) 규모에서 2020년 130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8일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8년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판매량 기준 25.8%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1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차별화된 솔루션과 혁신적인 제품으로 시장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에도 리더십을 유지해 왔다.
아날로그 감성의 판서 기능과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신개념 회의 솔루션 '삼성 플립', 인공지능 화질 엔진 '퀀텀 프로세서 8K'를 탑재한 '퀀텀닷(QLED) 8K' 사이니지, 양면형 세미아웃도어 사이니지, SoC(System on Chip) 기반으로 PC가 필요 없는 콘텐츠 관리 솔루션 등이 삼성전자의 대표적 업계 혁신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김석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 부사장은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제품과 솔루션을 바탕으로 매장·공항·경기장 등 다양한 상업용 공간을 적극 공략해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글로벌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2016년 이후 매년 20%씩 상승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04억 달러(약 11조8050억원) 규모에서 2020년 130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