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용자도 PC에서 정보검색"

  • 방통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1차연도 결과 발표

  • 스마트폰 이용자 53.6% 데스크톱 컴퓨터 사용...정보검색 비중 높아

디지털 기기 사용 현황과 주요 이용 목적[방통위]

스마트폰 이용자 중 상당수가 정보검색을 위해 데스크톱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등 스마트기기는 타인과의 소통 도구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의 1차연도 조사결과를 8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능정보기술·서비스 확산에 따른 이용자 인식과 행태변화를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추적하는 패널조사다.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한 2411가구 만 17∼63세 남녀 4233명을 대상으로 가구별 방문조사로 실시됐다. 조사대상자는 스마트폰 이용자이자 매일 1회 이상 인터넷 이용자로 한정됐다.

스마트폰 이용자가 사용하는 기기는 데스크톱 컴퓨터(53.6%)가 가장 많았고, 노트북 컴퓨터(29.2%), 태블릿PC(7.9%), 스마트워치(1.9%) 등 순이었다.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의 이용 목적으로는 '타인과의 소통'이 각각 31.7%와 26.2%로 가장 많았고, 데스크톱과 노트북으로는 정보검색(29.0%·27.7%)을 한다는 답변 비중이 가장 높았다.

5년 내 일상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인공지능(AI) 서비스로는 원격진료(63.1%)와 위험한 일을 대신할 로봇(55.8%) 등이 꼽혔다.

인공지능스피커는 전체 응답자의 7.4%만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스피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사용방법이 어려워서'(20.1%), '가격이 비싸서'(19.3%)라고 답변했다.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 신뢰 받는 기관으로는 금융기관(59.6%)이 가장 많았다. 반대로 온라인 쇼핑몰(35.0%)의 신뢰도가 가장 낮았다.

이용자들은 자신의 정보를 주는 대가로 합당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면 기꺼이 사생활을 포기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CC(폐쇄회로)TV 설치와 관련, 64.6%가 작업환경 안전과 보안을 위해서라면 찬성한다고 대답했다. 63.8%가 범죄예방을 위한 CCTV 설치에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