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 두고 서울시-행안부 또 갈등…시 "행안부 요구 거의 100% 수용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둔 서울시와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 간 갈등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행안부는 재구조화 사업과 관련해 서울시와의 협의에 진척이 없을뿐더러 2021년으로 못 박은 일정을 늦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서울시는 “행안부의 요구 사항을 거의 100% 수용했다”며 행안부를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8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관련 긴급브리핑'에서 진희선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서울시로서는 행안부의 의견을 경청하고 사실상 대부분의 요구를 수용했으나 행안부가 공문을 보내서 반대하는 것은 의외의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행안부와 서울시는 지속 협의했다. 3~5월 청와대 주관 차관급 회의, 5~7월 10여 차례 실무진 회의를 통해 청사가 제 기능을 하도록 행안부의 요구를 수용했다“고 덧붙였다.

또 “공공청사 부지 중 저촉되는 토지에 대해선 이에 상응하는 부지 교환을 하고 어린이집을 신설하기로 했으며 저촉되는 부속건물에 대해서는 청사 기능 유지를 위한 도시계획시설 변경 및 저촉 건물 이전 설치 요구를 반영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날 긴급 브리핑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두고 서울시와 대립해온 행안부가 '일정을 늦춰달라'며 공식적으로 제동을 걸고 나선 데 따라 서울시의 입장을 표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안부는 지난달 30일 서울시에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관련 협조 요청' 공문을 보내 '사업 일정을 늦춰 충분히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행안부는 공문에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국민과 시민의 폭넓은 이해와 지지, 대표성 있는 시민단체와 전문가 참여 속에 추진돼야 한다고 보며 이에 따라 전반적 사업 일정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행안부가 문제를 삼은 것은 월대 복원사업, 교통대책을 비롯해 정부서울청사 입주기관과 청사 어린이집 학부모회 등 이해관계자들의 불만 등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즉각 반론을 폈다. 진 부시장은 “어린이집은 별도 부지를 마련해서 준비하기로 했고 청사 통신시설 정비시설도 배치 재구조화하기로 했다. 월대 복원은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와 시기를 맞추기 위해 빨리 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고 반박했다.

또 2021년 5월 새로운 광화문 광장을 선보이기로 한 애초 일정을 미룰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진 부시장은 “2021년 5월까지 기간을 상정한 것은 공사가 늦어지면 시민 불편이 가중된다. 공사를 최대한 빨리해서 시민 불편을 덜겠다”고 밝혔다.

다만, “광화문광장을 복원하려면 현 설계안이 최선이다”면서도 “설계 당선안에 담긴 이순신 장군, 세종대왕 동상 이전 등은 설계자의 제안일 뿐 동상 이전 등은 시민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서 따르겠다”고 말했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둔 양기관의 갈등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1월 서울시가 새로운 광화문광장 설계안을 발표하자 행안부는 '설계안에 정부서울청사 일부 건물과 부지가 포함된 것은 합의된 바 없는 내용'이라며 반발했다.

또 진영 행안부 장관이 지난달 25일 기자간담회에서 "(서울시와) 논의는 많이 했는데 합의된 것은 없다"고 발언하며 갈등이 다시 한 번 표면으로 드러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