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올해 추경 73억원 들여 노후 하수관 정밀조사

  • '땅 꺼짐' 예방, 노후 하수관 3103㎞ 연내 정밀조사

  • 2023년까지 노후 하수관 4만km 개선

정부가 올 연말까지 추가경정예산(추경)에서 확보한 국고 73억원을 들여 전국 노후 하수관에 대한 대대적인 정밀 조사를 벌인다. 땅 꺼짐(지반 침하) 현상을 사전에 막기 위해서다.
 
환경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예산을 지원해 연말까지 노후 하수관 3103㎞를 정밀 조사한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올해 초 실시한 지자체 수요조사 결과에 따른 부산 등 26개 지자체의 20년 넘은 하수관로다.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 15만㎞ 가운데 설치한 지 20년 이상 돼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하수관은 전체의 40%인 6만㎞에 달한다.

노후 하수관에 결함이 생기면 그 위의 토양이 결함 틈새를 통해 하수관으로 들어가면서 땅속에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 생길 수 있다. 그 위로 자동차 등이 지나가면 땅 꺼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노후 하수관. [사진=아주경제DB]

2014∼2018년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땅 꺼짐 현상 1143건 중 하수관 손상에 따른 것이 460건(40.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상수관 손상 214건(18.7%), 부실한 굴착공사 61건(5.3%)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노후 하수관에 폐쇄회로(CC)TV 조사 장비를 투입한 뒤 지상에서 조작 장치를 이용해 하수관 내부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환경부는 하수관의 상태를 5등급으로 구분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 긴급보수가 필요한 결함 하수관은 국고를 우선 지원해 보수하거나 교체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오는 2023년까지 노후 하수관 4만㎞를 개선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