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은 이번 포럼에 참석하는 중국 측 대표단 소식통을 인용, 최근 미국 하원이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일명 홍콩 인권법)'을 통과시킨 것과 관련해 미국 측 대표단이 중국 측의 비난 공세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했다.
홍콩 범죄인 인도법(일명 송환법) 반대 시위를 계기로 미국 하원에서 지난 15일 통과시킨 홍콩 인권법은 홍콩의 인권과 자치 상황을 평가해 미국이 홍콩에 부여한 무역·금융·투자 등 특별혜택을 재검토하는 게 골자다. 중국은 이를 자국에 대한 심각한 내정간섭으로 보고 반격할 것이라고 강력히 반발해 왔다.
또 미국은 최근 중국이 동남아국가와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남중국해에 자국 군함을 파견해 '항행의 자유' 작전을 늘리고, 대만에 최신형 전투기 기종인 F-16을 판매하기로 결정하는 등 중국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 이를 자국의 핵심 이익에 대한 도발로 보는 중국으로선 이번 샹산포럼을 빌어 미국을 거세게 비난할 것이란 관측이다.
샹산포럼은 중국 국방부와 외교부가 지원하는 행사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비롯한 국제 안보를 주요 의제로 한다. 2006년에 시작돼 격년으로 개최됐으나, 서방 주도의 '아시아안보회의(일명 샹그릴라 대화)'에 대응하고자 지난 2014년부터는 매년 열렸다. 9회째 열리는 올해 포럼 주제는 '국제 질서를 수호하고 아시아 태평양을 함께 건설한다'로, 76개 국가 및 지역에서 530여명이 참석한다. 여기엔 23개국 국방장관도 포함됐다.
샹산포럼은 지역 안보를 논의하기 위한 대화채널이지만, 사실 중국은 이 자리를 빌어 미국의 도발 행위를 비난하고, 중국의 주권·영토 수호 의지를 내비쳐왔다.
지난해 포럼에서도 개막식 전날 만찬 행사에 '깜짝' 등장한 중국공산당 서열 3위인 리잔수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국회의장 격)은 미국의 대만 무기 판매 등 행동이 지역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며 "중국은 대만 독립세력의 분열을 부추기는 행위를 막을 확고한 의지와 능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웨이펑허 중국 국방부장도 당시 개막식 연설에서 “그 누구도 중국에서 대만을 뺏어가려 한다면 중국군은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며, 어떠한 대가도 치를 것"이라고 사실상 미국을 향해 경고 메시지를 날렸다.
한편, 이번 샹산포럼에선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논란이 불거진 이후 중단됐던 한중 국방전략대화가 5년 만에 재개된다. 국방부에 따르면 박재민 국방부 차관이 20일부터 22일까지 베이징을 방문해 샹산포럼에 참석, 웨이펑허(魏鳳和) 국방장관을 예방하고 한중 차관급 국방전략대화를 가질 예정이다.

지난해 베이징에서 열린 제8회 샹산포럼. [사진=중국군망]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