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중국과의 1단계 무역협상이 합의에 이르렀다고 발언한 영향으로 달러가 약세를 나타냈다. 이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하락 마감했다.
15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3.1원 내린 1166.6원에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미·중 무역합의 기대감이 등장하면서 1.0원 내린 1169.1원에 출발했다.
그간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우려는 미 달러화 강세의 재료였다. 하지만 이날 확대된 무역합의에 대한 낙관론에 달러화는 약세 전환했다.
호재에도 불구하고 환율 낙폭이 제한된 이유는 미 경제지표가 악화된 나타낸 영향으로 분석된다. 미국 10월 실업보험청구자수는 22만5000명으로 4개월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자가 늘어난 셈이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무역협상 낙관론으로 달러가 약세를 나타냈다"며 "하지만 미 경제지표가 혼조세를 나타내면서 시장의 공격적인 플레이는 제한됐다"고 말했다.
15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3.1원 내린 1166.6원에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미·중 무역합의 기대감이 등장하면서 1.0원 내린 1169.1원에 출발했다.
그간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우려는 미 달러화 강세의 재료였다. 하지만 이날 확대된 무역합의에 대한 낙관론에 달러화는 약세 전환했다.
호재에도 불구하고 환율 낙폭이 제한된 이유는 미 경제지표가 악화된 나타낸 영향으로 분석된다. 미국 10월 실업보험청구자수는 22만5000명으로 4개월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자가 늘어난 셈이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