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여러 보험사를 경영해왔던 정 사장의 경험을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생명의 합병 과정에서 요긴하게 활용하려는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과 자경위의 판단이 녹아있다.
당시 신한생명 노동조합의 결사적인 반대 탓에 정 사장의 신한생명 이동은 무산됐다. 그러나 신한금융그룹에서 정 사장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1년 사이에 크게 변하지 않았다. 두 보험사의 합병 과정에서 위기의 보험사를 정상화했던 '전문 소방수' 정 사장의 경험을 십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에서 정 사장의 연임을 낙관적으로 보는 것도 이 같은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현재 진행되는 회장 선임 절차를 마무리하고 이른 시일 안에 자경위를 열고 계열사 CEO의 연임 문제를 논의할 방침이다. 이번에는 오렌지라이프생명을 이끄는 정 사장의 거취도 논의 대상에 포함된다. 정 사장은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맞이한다.

[사진=오렌지라이프생명]
금융지주계 보험사인 신한생명과 외국계 보험사였던 기간이 상당한 오렌지라이프생명은 조직 문화에서부터 큰 차이를 보인다. 또 주로 보장성보험에 강한 신한생명과 변액보험에서 강점이 있는 오렌지라이프생명은 장단점에서도 차이가 상당하다.
합병 과정에서 세심한 조정이 없다면 조직 사이에서 충돌이 발생하거나 두 회사 중 한 곳의 장점이 없어지기 십상이다. 다양한 보험사 경영의 경험을 쌓은 정 사장이 중심을 잡아줘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2007년 알리안츠생명(현 ABL생명) 사장으로 선임된 것을 시작으로 셈하면 정 사장은 13년차 베테랑 CEO다. 알리안츠생명과 ACE생명(현 처브라이프생명) 등 다양한 보험사를 경영했음을 감안하면 신한금융그룹 내부에서도 정 사장만한 보험 전문가를 찾기 어렵다.
아울러 최근 글로벌 건전성 규제 강화 흐름 속에서 정 사장의 다양한 경험이 더욱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 등을 앞두고 그 어느 때보다 보험사 경영 환경이 악화된 탓이다. 보험사 경영에서 한층 운용의 묘가 요구되는 덕에 경험이 많은 CEO들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사진=오렌지라이프생명]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 사장의 경우 당장의 연임보다는 통합 보험사에서 수장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지에 관심이 모이는 인물"이라며 "만약 신한금융그룹에서 합당한 대우를 못 받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그를 모셔가겠다고 줄을 설 보험사가 한둘이 아닐 것 같다"고 말했다.

[사진=오렌지라이프생명]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