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환경부에 따르면 2018년 전국 하수도 보급률은 93.9%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하수도 보급률은 도시 95.9%, 농어촌(군지역) 72.6%였다. 도시와 농어촌 간에 2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지만 10년 전(44.5%포인트)과 비교하면 격차가 많이 줄었다.
지난해 전국에 새로 설치된 하수관로는 6754㎞로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하수 처리시설은 41개가 늘었고, 하수 처리시설 용량은 일일 1만6528㎥로 증가했다.
운영 중인 하수관로 중 설치된 지 20년이 지난 노후 하수관로는 6만6334㎞로 전체의 42.5%를 차지했다. 노후 하수관로 비율은 대구, 부산, 서울 등 대도시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25년 이상 된 하수처리시설은 54개(8%), 30년 이상 된 시설은 13개였다. 하지만 환경부는 2030년까지 해마다 노후시설 비율이 급격하게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 하수도 보급률[자료=환경부]
지자체별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대전이 98.9%로 가장 높았고, 대구(90.7%), 인천(86.2%) 등이 뒤를 이었다. 제주(19.6%), 강원(21.7%) 등은 전국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하수처리수 재이용량은 11억1300만t으로 7억1200만t에 그쳤던 2008년과 비교하면 많이 증가했다.
하수처리수 재이용은 하수처리장 내 이용이 46.8%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공업용수(6.8%), 농업용수(1.1%) 등 대체 수자원으로 다시 이용하는 비율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미자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노후 하수도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체계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며 "공공하수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노후도 평가 기준 마련하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