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시 강화…中서 입국 후 증상 시 감시‧격리

  • 중국 전역 검역 오염지역으로 지정

질병관리본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세 번째 확진자가 나옴에 따라 감시를 강화한다. 앞으로 중국 우한시 뿐 아니라 중국을 방문 후 폐렴 진단을 받으면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포함해 격리조치한다.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경우 역학조사관 판단에 따라 자가격리와 능동감시가 진행된다.

질본은 26일 오후 5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브리핑을 열고 오는 28일부터 중국 전역을 검역대상 오염지역으로 지정하고, 사례정의(감염병 감시·대응·관리가 필요한 대상을 정의하는 것)를 변경해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브리핑에서 “현재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1975명으로 늘었다”며 “앞으로 중국에서 입국하는 모든 여행객은 건강상태질문서를 사실에 맞게 작성해 입국 시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발열 등 유증상자에게는 검역조사를 실시하고, 의심되는 환자는 역학조사관의 판단에 따라 즉시 격리되거나 관할 지자체로 연계해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며 “국방부와 경찰청, 지자체 등으로부터 추가 검역인원 약 200명을 지원받아 배치할 예정으로, 앞으로 중국으로부터 입국할 경우 소요시간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협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국내 환자 신고·대응·관리를 위한 사례정의는 확대한다.
 

사례정의 변경 전후 비교 [자료=질병관리본부 제공]

감염환자 발생이 가장 많은 후베이성(우한시 포함) 방문자는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중 어느 하나라도 확인되면 바로 의사(의심)환자로 분류해 격리조치 한다.

후베이성 외 중국 지역 방문자는 폐렴 진단 시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포함해 격리조치하고, 발열과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경우 역학조사관의 판단에 따라 자가격리 또는 능동감시를 통해 관리한다.

정 본부장은 “검역대상 오염지역 확대 및 사례정의 변경에 따라 격리·감시대상자가 큰 폭으로 증가될 것”이라며 “각 지자체에서는 선별진료소 및 격리병원 확충, 감시·격리 관리 인력 추가 확보 등 필요 인력과 시설을 적극 동원해 지역사회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조기발견 및 확산 차단을 위해서는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국민 행동 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말했다.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며, 의심 증상이 발생했다면 관할보건소 또는 1339로 문의해 안내 받아야 한다. 또 의료기관 방문 시 중국 여행력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한편, 첫 번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는 폐렴 소견이 나타나 치료중이며, 두 번째 확진환자는 안정적인 상태다. 각 확진환자의 접촉자 45명 중 4명, 75명 중 7명이 조사대상유증상자로 확인됐으나, 모두 음성으로 확인돼 격리해제 됐다.

세 번째 확진환자는 현재 명지병원에 격리 입원중이며, 역학조사 결과는 향후 별도로 안내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