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가 미국파산협회(ABI) 자료를 인용해 26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 3월 미국에서 파산보호(챕터11·법정관리)를 신청한 기업은 전년 동기 대비 18% 급증했다. 2월 20% 감소했으나 3월 코로나19로 인한 이동 통제령이 본격화하면서 상황이 급반전됐다. 대부분은 중소기업인 것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정부의 규제가 이어지는 가운데 영업을 축소하거나 중단한 회사들은 늘어나는 부채와 언제 정상 영업으로 복귀할 수 있을지 모르는 불확실성에 시달리고 있다. 미국 정부는 기업 도산을 막기 위해 서둘러 약 3600억 달러(442조원) 규모로 긴급자금 대출에 나섰지만 일주일도 채 안돼 지원금이 바닥이 났다. 추가로 3100억 달러 자금이 곧 투입되지만 경제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추가 지원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장 취약한 업종으로는 외식업과 소매업이 꼽힌다. 대부분이 1달 이상 문을 닫으면서 매출이 말라붙었기 때문이다. 일부 식당은 포장이나 배달 서비스로 간신히 매출을 내지만 연명을 걱정하기는 마찬가지다. 의류 소매업체들은 겨울옷 판매 시기를 놓치면서 재고를 짊어지는 이중고를 떠안았다. 이달 앞서 청바지 회사 트루릴리전이 코로나19로 인한 휴업 피해를 이유로 파산보호를 신청했고, 113년 역사의 명품 백화점인 니만마커스와 JC페니도 사실상 파산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P는 미국에서 코로나19 사태에서 얼마나 많은 기업이 파산보호를 신청할지 예측하기 어려우나, 금융위기나 대공황 당시 16만개 넘는 기업들이 쓰러졌다고 전했다. 경기침체 동안 평균 약 17만개 기업이 문을 닫는다는 통계가 있다고도 전했다.
뉴욕 소재 로펌인 다비도프 헛처&사이트론의 데이비드 완더 파산 변호사는 "사업자들은 지주, 건물주 등에 관용을 구하면서 파산을 피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코로나19로 기업의 재무상황이 통제 불가 상황으로 악화하고 있어 점점 더 많은 업체가 파산보호를 신청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파산 쓰나미가 앞으로 몇 개월 동안 계속 들이닥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