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군사적 긴장을 한층 고조시킬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도발 우려가 다시 수면 위로 떠 올랐다.
미국의 북한전문사이트 비욘드 패럴렐(beyond parallel·분단을 넘어)이 5일(현지시간) 평양 인근에 새 미사일 지원 시설이 거의 완공된 상태라고 보도하면서다.
비욘드 패럴렐은 이날 웹사이트에 ‘신리(Sil-li) 탄도미사일 지원시설’이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시설은 북한 평안 순안국제공항 근처에 있고, ICBM 화성-15가 들어갈 수 있을 만큼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설은 외부에 공개된 적이 없으며, 북한의 알려진 모든 탄도 미사일 관련 발사대, 지원 차량을 모두 수용 가능할 정도로 규모가 큰 지하시설 옆에 건설된 것으로 전해졌다.
보고서는 이 시설이 지난 2016년 중반부터 평안 순안국제공항에서 남서쪽, 평양 북서쪽으로 약 17㎞ 떨어진 곳에서 지어지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시설은 차량 이동형(드라이브 스루)으로 연결된 3개의 대형 건물과 인근의 대규모 지하시설, 철도 터미널, 주택단지 등으로 구성됐다. 단 철도 터미널과 주택단지 등은 위성으로 관측되지 못하도록 가려져 있다는 것이 보고서의 설명이다.
주목할 점은 이 시설이 평양 지역의 탄도미사일 부품 제조 공장과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시설이 탄도미사일 운영 지원을 위해 설계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또 건물과 지하시설 배열, 규모 등으로 볼 때 태성기계공장 등 인근 탄도미사일 부품공장에서 철로로 운반된 부품을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시설의 정확한 기능은 분명하지 않다고 했다.
보고서는 시설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완공돼 가동 준비가 완료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 인해 지난 2년 간 중단됐던 북한의 ICBM 발사 도발 재개에 대한 우려도 등장한다.
앞서 북한 전문가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잠행과 관련해 북한의 ICBM 발사 도발을 우려한 바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지난달 27일 김 위원장의 사망 가능성에 선을 긋고, 최근 북한에서 미사일 발사 준비 징후가 포착되고 있다는 점을 거론했었다. 당시 정 센터장은 이를 근거로 김 위원장이 새로운 미사일 시험발사 현장을 참관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도 같은 날 현안진단 보고서에서 북한이 ICBM 발사로 연결되는 수개월에 걸친 도발 계획을 마련하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북극성 3형(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신형엔진(ICBM 고체엔진) 출력 시험, 7~8월 하계 군사훈련 기간 중 신형단거리전술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및 전력화, 당 창건 75주년(10월 10일) 전후 인공위성 발사 및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 신형 ICBM 등 신무기 공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편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북한의 새로운 미사일 지원시설이 ICBM용이 아닌 평양 순안공항 방어시설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 위원은 “ICBM까지는 더 많은 조사나 평가가 필요할 것 같다”며 “순안비행장을 확장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방어할 수 있는 미사일 기지, 미사일 부대들은 배치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ICBM 쏜다고 하는 것은 좀 이른, 섣부른 판단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북한(공항은) 주로 민간항공기가 사용하지만 유사시 군용기도 떠야 하기에 미사일 부대가 배치돼 있다. 공격에 대응하는 미사일 지원부대가 아닌가 생각하고 그럴 거라고 확신한다”고 부연했다.
미국의 북한전문사이트 비욘드 패럴렐(beyond parallel·분단을 넘어)이 5일(현지시간) 평양 인근에 새 미사일 지원 시설이 거의 완공된 상태라고 보도하면서다.
비욘드 패럴렐은 이날 웹사이트에 ‘신리(Sil-li) 탄도미사일 지원시설’이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시설은 북한 평안 순안국제공항 근처에 있고, ICBM 화성-15가 들어갈 수 있을 만큼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설은 외부에 공개된 적이 없으며, 북한의 알려진 모든 탄도 미사일 관련 발사대, 지원 차량을 모두 수용 가능할 정도로 규모가 큰 지하시설 옆에 건설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설은 차량 이동형(드라이브 스루)으로 연결된 3개의 대형 건물과 인근의 대규모 지하시설, 철도 터미널, 주택단지 등으로 구성됐다. 단 철도 터미널과 주택단지 등은 위성으로 관측되지 못하도록 가려져 있다는 것이 보고서의 설명이다.
주목할 점은 이 시설이 평양 지역의 탄도미사일 부품 제조 공장과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시설이 탄도미사일 운영 지원을 위해 설계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또 건물과 지하시설 배열, 규모 등으로 볼 때 태성기계공장 등 인근 탄도미사일 부품공장에서 철로로 운반된 부품을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시설의 정확한 기능은 분명하지 않다고 했다.
보고서는 시설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완공돼 가동 준비가 완료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 인해 지난 2년 간 중단됐던 북한의 ICBM 발사 도발 재개에 대한 우려도 등장한다.
앞서 북한 전문가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잠행과 관련해 북한의 ICBM 발사 도발을 우려한 바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지난달 27일 김 위원장의 사망 가능성에 선을 긋고, 최근 북한에서 미사일 발사 준비 징후가 포착되고 있다는 점을 거론했었다. 당시 정 센터장은 이를 근거로 김 위원장이 새로운 미사일 시험발사 현장을 참관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도 같은 날 현안진단 보고서에서 북한이 ICBM 발사로 연결되는 수개월에 걸친 도발 계획을 마련하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북극성 3형(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신형엔진(ICBM 고체엔진) 출력 시험, 7~8월 하계 군사훈련 기간 중 신형단거리전술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및 전력화, 당 창건 75주년(10월 10일) 전후 인공위성 발사 및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 신형 ICBM 등 신무기 공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편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북한의 새로운 미사일 지원시설이 ICBM용이 아닌 평양 순안공항 방어시설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 위원은 “ICBM까지는 더 많은 조사나 평가가 필요할 것 같다”며 “순안비행장을 확장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방어할 수 있는 미사일 기지, 미사일 부대들은 배치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ICBM 쏜다고 하는 것은 좀 이른, 섣부른 판단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북한(공항은) 주로 민간항공기가 사용하지만 유사시 군용기도 떠야 하기에 미사일 부대가 배치돼 있다. 공격에 대응하는 미사일 지원부대가 아닌가 생각하고 그럴 거라고 확신한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