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업계의 인수합병(M&A)이 이번주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와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 모두 종결 시한이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았다. 다만 두 건의 M&A 모두 딜 성사 여부는 '안갯속'이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항공업계 전체가 큰 타격을 입은데다 인수 과정에서 기업 간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이스타항공, 체불임금 분담 두고 공방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HDC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종결 시한은 오는 27일,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 종결 시한은 29일로 예정돼 있다.
우선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은 이스타항공 근로자들의 체불 임금을 두고 갈등을 겪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최근 제주항공에 이스타항공 근로자들이 4∼6월 3개월치 급여를 포기하고, 남은 체불 임금의 일부는 이스타항공의 최대주주인 이스타홀딩스가, 나머지는 제주항공이 각각 부담하는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타항공의 체불 임금은 25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4∼6월 근무를 한 필수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직원의 휴업수당이 월 35억원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3개월치 105억원을 제외한 145억원가량을 양측이 나눠 부담하자는 취지인 것으로 해석된다. 구체적인 부담 금액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3개월치 휴업수당 반납 여부는 이스타항공 직원들의 최종 동의를 거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의 현 경영진과 대주주가 체불 임금 문제를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이스타항공은 제주항공이 인수 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이스타항공이 제주항공과의 사전 협의 없이 오는 26일 신규 이사와 감사를 선임하는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한다고 주주들에게 고지해 양측의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진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양측의 갈등이 커지며 이달 29일로 예정된 거래 종결 시한까지 인수가 마무리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양측의 합의 하에 3개월 더 기한을 연장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이스타항공 직원들에게 지급하지 못하는 임금이 매달 50억원씩 더 늘어난다는 점이 부담이다.
◆HDC현산 "원점 재검토"…산은 "대면협상 하자"
HDC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는 원점으로 돌아간 상태다. HDC현산은 지난 9일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자"는 공식 입장을 밝힌 이후 이렇다 할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채권단은 지난 10일 HDC현산에 구체적인 재협상 조건을 제시하라고 공을 넘긴 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이동걸 산은 회장이 직접 나서 대면협상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 회장은 "상호 신뢰가 전제돼야 충분히 안전하게 딜이 끝까지 갈 수 있다"며 "60년대 연애도 아니고 무슨 편지를 하느냐"고 대면 협상을 촉구하기도 했다.
일단 산은과 채권단의 재협상 등을 고려하면 이달 말에 대금 납입과 임시 주총 소집을 통한 이사 선임 등 인수 마무리 작업이 이뤄지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이에 따라 양측이 합의해 당초 이달 27일로 예정된 인수 종결 시한을 최대 6개월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
채권단은 일단 HDC현산의 인수 포기에 대비해 '플랜B'를 준비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을 채권단이 관리하다 추후 재매각하는 방안과 에어부산 계열사와 분리 매각하는 방안 등이 검토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이스타항공, 체불임금 분담 두고 공방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HDC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종결 시한은 오는 27일,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 종결 시한은 29일로 예정돼 있다.
우선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은 이스타항공 근로자들의 체불 임금을 두고 갈등을 겪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최근 제주항공에 이스타항공 근로자들이 4∼6월 3개월치 급여를 포기하고, 남은 체불 임금의 일부는 이스타항공의 최대주주인 이스타홀딩스가, 나머지는 제주항공이 각각 부담하는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3개월치 휴업수당 반납 여부는 이스타항공 직원들의 최종 동의를 거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의 현 경영진과 대주주가 체불 임금 문제를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이스타항공은 제주항공이 인수 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이스타항공이 제주항공과의 사전 협의 없이 오는 26일 신규 이사와 감사를 선임하는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한다고 주주들에게 고지해 양측의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진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양측의 갈등이 커지며 이달 29일로 예정된 거래 종결 시한까지 인수가 마무리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양측의 합의 하에 3개월 더 기한을 연장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이스타항공 직원들에게 지급하지 못하는 임금이 매달 50억원씩 더 늘어난다는 점이 부담이다.
HDC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는 원점으로 돌아간 상태다. HDC현산은 지난 9일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자"는 공식 입장을 밝힌 이후 이렇다 할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채권단은 지난 10일 HDC현산에 구체적인 재협상 조건을 제시하라고 공을 넘긴 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이동걸 산은 회장이 직접 나서 대면협상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 회장은 "상호 신뢰가 전제돼야 충분히 안전하게 딜이 끝까지 갈 수 있다"며 "60년대 연애도 아니고 무슨 편지를 하느냐"고 대면 협상을 촉구하기도 했다.
일단 산은과 채권단의 재협상 등을 고려하면 이달 말에 대금 납입과 임시 주총 소집을 통한 이사 선임 등 인수 마무리 작업이 이뤄지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이에 따라 양측이 합의해 당초 이달 27일로 예정된 인수 종결 시한을 최대 6개월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
채권단은 일단 HDC현산의 인수 포기에 대비해 '플랜B'를 준비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을 채권단이 관리하다 추후 재매각하는 방안과 에어부산 계열사와 분리 매각하는 방안 등이 검토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