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랍 폴로리카스빌리 유엔 세계관광기구(UNWTO) 사무총장이 강조한 얘기다.
코로나19 팬데믹에 글로벌 여행수요가 곤두박질친 지 수개월이 흘렀지만, 여행 수요는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전 세계 관광산업 종사자 1억명이 실직 위기에 놓이는 등 관광산업은 현재 존폐 기로에 서 있다. UNWTO는 글로벌 여행 제한이 12월까지 지속될 경우 올해 총 해외관광객 수는 작년 대비 80%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초기부터 여행업을 위한 지원책을 다양하게 펼쳐왔다. 여행업을 특별고용유지업종으로 정하고 고용유지 지원을 했다. 관광 융자·우수 여행사 지원도 했다.
하지만 이 대책은 무너져가는 여행산업이 완전히 회복되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몇 달째 수입이 없는 여행사의 입장에서는 고용유지 지원이 되는 90%를 제외한 나머지 10%를 사업주가 부담하는 것조차 부담스러웠다. 고용유지 지원 기간이 끝난 후 휴·폐업을 신청하는 업체도 부지기수다.
관광 융자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최근 '2020년 하반기 관광진흥개발기금 융자지원지침'을 수정해 총 4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으로 관광산업을 활성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원규모도 1개 업체당 기존 30억원(최근 1년간 영업비용의 50% 이내)에서 최대 40억원으로 늘렸다.
관광진흥개발기금 중 운영자금은 인건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관광산업에 불어오는 구조조정 바람을 막아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업계는 이 대책이 달갑지만은 않았다. '순수 지원'이 아닌 '융자'인 만큼 지원을 받아도 결국 사업주의 '빚' 부담만 늘리는 꼴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나마 융자를 받을 수 있으면 다행이지만, 신용보증재단이 보증서를 발급해주지 않고, 은행의 까다로운 조건 탓에 대출이 100% 된다는 보장도 없다.
여행산업은 더는 물러설 곳이 없다. 업계는 정부가 산업의 붕괴를 막을 대안을 수립하고, 코로나19 확산 추이에 맞게 단계별 계획을 내놓기를 바란다. 코로나19 종식이 최우선 과제이지만,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상황에서 무작정 종식만을 목 빠지게 기다릴 수는 없다고 입을 모은다.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글로벌 여행 재개를 이야기하는 것은 성급하지 않냐고 비난하는 시각도 있겠지만 사회적 거리 두기가 1단계로 하향하고 정부도 조심스럽게 '안전여행' 캠페인을 펼치며 철저한 방역에 기반한 국내여행을 독려하고 있다.
이미 홍콩과 싱가포르는 최근 협정을 맺은 국가 간에 자유롭게 입국을 허용하는 '트래블 버블' 협정을 체결했다. 이쯤이면 우리도 안전한 국내여행의 연장선상에서 우수한 방역을 기반으로 트래블 버블 논의를 통한 여행 확장도 가능하지 않을까.
코로나19 종식 후 여행산업이 빠르게 회복할 것이라는 예상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문제는 그때까지 기다릴 시간과 체력이 여행업계엔 없다.
하루 빨리 통제 가능한 국가 간 상호 협정을 통해 입국·검역·격리 등의 기준을 정해 여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력을 기울여 주길 바란다.
트래블 버블은 쓰러져가는 업계 생존을 위한 '마지막 희망'일 것이다. 목숨줄을 옥죄고 있는 줄을 서서히 풀어줘야 글로벌 여행업계가 숨을 쉴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