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정부·기업 한자리에서 6G 비전 공유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국 정부 관계자와 기업이 참가하는 '6G 글로벌 2020' 콘퍼런스가 오는 19일 서울에서 개최된다.

이번 콘퍼런스는 2030년 상용화 예정인 6G의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주요국 정부가 처음으로 한자리에서 6G 비전을 공유한다. 주제는 '2030년을 향한 첫걸음(Paving the way toward 2030)'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별 6G 전략' 세션에서 첫 번째 발표를 맡았다. 이어 중국 공업신식화부가 6G 전략에 대해, 일본 총무성은 '비욘드5G(6G) 정책 방향'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EU 집행위원회(DG커넥트)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각각 '6G를 향한 유럽 어젠다', '차세대 네트워크·서비스 투자 및 혁신 촉진을 위한 미국 정부의 규제 모범사례'를 주제로 발표를 이어간다.

기업들도 제각각 6G 전망을 내놓는다. 삼성전자는 '6G 모바일커뮤니케이션: 도전과 전망'이란 주제로 2부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LG전자의 발표 주제는 '인공지능(AI)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6G 테라급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밖에 노키아, 에릭슨, 퀄컴 등의 기업이 6G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중국 정보통신기술연구원(CAICT), 일본 정보통신연구원(NICT) 등 주요 대학 연구기관도 주제발표를 할 예정이다.

6G 관련 논의는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우리나라는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통 R&D 추진 전략'을 수립해 앞으로 5년 동안 2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일부에서는 5G 상용화가 불완전한데 6G 시장에 뛰어드는 게 이르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기술 논의는 몇 년 앞서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 빠른 게 아니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말이다.

6G 글로벌 2020은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