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현지시간) 미얀마군이 급습한 양곤의 철도 노동자 거주지 인근 바리케이드에서 불길과 연기가 치솟고 있다. 이날 오전 미얀마군 병력은 지난달 군부 쿠데타 발생 이후 파업을 계속해온 철도 노동자 1천 명의 양곤 외곽 거주지를 급습했다. 현지 매체 이라와디는 군경이 거주지에서 최소 4명을 구금했다고 보도했다.[사진=EPA·연합뉴스]
미국이 미얀마 군정에 대한 추가 제재를 결정했다. 이번엔 쿠데타를 선언하고 미얀마 군사정권을 이끄는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가족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10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민주적으로 선출된 버마(Burma·미얀마 옛 이름) 문민정부를 겨냥한 군부의 쿠데타와 평화로운 시위대를 잔혹하게 학살한 일에 대응해 이같이 조처했다”고 밝혔다.
미국 재무부의 결정에 따라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두 성인 자녀와 이들이 장악한 기업체 6개에 대해선 미국 내 자산 동결, 거래 금지 등 제재가 내려진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지난달 11일 미국의 제재 대상으로 포함됐다.
영국도 미얀마 군사정권에 대한 추가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미국의 추가 제재 발표 이후 트위터에 “영국도 추가 제재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미얀마 정권이 권력 남용과 인권 침해로부터 이익을 얻어선 안 된다는 우리의 입장은 명확하다”라고 적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도 이날 미얀마 군부를 향한 자제 촉구 성명을 내놨다. 안보리는 이날 중국 등 15개 이사국 전체가 승인한 의장 성명을 채택했다.
앞서 안보리는 미얀마 쿠데타 사태 발생 직후 긴급회의를 소집,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는 결의안 채택에 나섰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에 부딪혀 결의안 채택에 실패했고, 이날 결의안 바로 아래 단계의 조치인 의장 성명을 발표했다.
안보리가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성명을 낸 것은 지난달 4일 ‘깊은 우려’를 표명한 이후 두 번째다. 의장 성명은 처음이다.
안보리는 성명에서 “여성, 청년, 아이들을 포함한 평화 시위대에 대한 폭력 사용을 강하게 규탄한다”면서 미얀마 군부에 ‘극도의 자제’를 촉구했다. 앞서 결의안 초안에 담겼던 ‘쿠데타 규탄’이라는 표현은 없었다.
이와 관련 AP통신은 안보리 의장 성명이 영국 주도로 작성한 초안에서 상당히 후퇴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영국 등 서구국가의 제재와 국제기구의 자제 촉구에도 평화 시위대, 문민정부 인사들을 향한 미얀마 군부의 폭력행위는 이어지고 있다.
미국 CNN은 미얀마 감시단체를 인용해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 관계자 1명이 군부에 억류돼 고문을 받다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NLD 관리가 군부의 고문에 의해 숨진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미얀마 군부가 10일 오전 양곤 외곽의 두 곳을 급습해 최루탄을 발사하고 수백 명의 시위대를 포위했다”면서 반(反) 쿠데타 시위대를 향한 군부의 강경 진압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