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가R&D 중점투자분야는 '코로나19·탄소중립'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민철 기자
입력 2021-03-11 20: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과기정통부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

내년 국가 연구개발(R&D) 투자 키워드는 코로나19 대응, 디지털경제 전환, 탄소중립 실현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2022년도 국가R&D 투자방향 및 기준(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등 R&D 관련 22개 부‧처‧청에 대한 내년도 R&D 예산 배분‧조정의 지침으로 활용된다.

과기정통부는 코로나19 대응, 2050 탄소중립 실현 등을 위한 기술개발을 최우선 지원하기로 했다. 내년 국가R&D에 연구자 중심 기초연구, 인재양성, 중소기업·지역역량강화 등 분야의 투자확대 기조를 유지한다. R&D 투자 성과와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민·관 역할분담과 R&D 투자·정책 연계도 강화한다.

과기정통부는 내년 국가R&D 투자 기조로 4대 분야 10대 중점투자방향을 제시했다.

위기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감염병 위기극복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중점 지원한다.

신·변종 감염병의 주기적 유행에 대비해 단·장기적 기술역량 제고를 병행 추진한다. mRNA 백신 등의 차세대 혁신기술 확보와 방역 현장의 현안 해결을 위한 현장수요와의 연계·협력을 지원한다.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와 미래 공급망 창출을 위해 기 지원 핵심품목(185개)에 대한 기술개발을 차질 없이 지원한다. 장기적 관점의 혁신소재 원천기술개발과 미래선도품목(70개) 중심의 한계돌파·선도형 R&D를 강화한다.

경제 회복·활력 제고를 위해 '혁신성장 3대 핵심산업'과 D.N.A 기반의 디지털 경제 전환을 중점 지원한다.

바이오헬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등 산업 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해 차세대 핵심기술을 확보한다. 전문인력 양성과 산업생태계 활성화 지원을 강화한다.

차세대 D.N.A 핵심기술에 대한 선도적 R&D와 기술융합·확산을 통한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 안전·신뢰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K-사이버 보안 기술을 강화한다. 실감컨텐츠·혁신서비스 중심의 비대면 경제 활성화와 공공인프라의 효율성·안전성을 높일 SOC 디지털화를 지원한다.

기회창출을 통한 선도국가 도약을 위해 2050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가속화와 미래 핵심기술을 중점 지원한다.

태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고, ICT 기반 수요관리, CCUS 기술 등 저탄소·에너지 고효율화 기반의 순환 생태계를 조성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 기반의 감시·예측을 개선하고, 물관리 등 국민생활 밀접 분야 기술 혁신을 통해 국민의 기후 적응성을 강화한다.

미래 수요가 높고,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미래 핵심기술과 관련해 미래 산업·안보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양자 컴퓨터, 양자 센서·통신 관련 핵심기술 R&D를 중점 지원한다. '플라잉카'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기술개발과 뇌연구 분야의 통합적 뇌기능 연구를 강화한다.

포용 바탕의 미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창의·도전적 기초·기반 연구, 인재 양성, 지역·중소기업 역량 강화, 창업·기술사업화를 중점 지원한다.

내년 기초연구사업 예산 2조5200억원 규모의 국정과제 투자목표에 따라 자율적 기초연구를 지속 확대한다. 학문분야별 지원체계를 통해 기초연구의 전략성을 강화한다. 국민 생활·안전 인공위성 서비스, 한국형 발사체 등 관련 우주기술과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임무지향적 연구를 수행하는 ‘혁신도전형 연구’를 지원한다.

탄소중립, D.N.A 등 국가 전략분야 및 신산업 분야의 핵심 과학기술인재를 집중 육성한다. 청년·여성·학문후속세대 등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과학기술인재에 대한 전주기적인 성장 지원과 해외 핵심인재 유치를 위한 전략적 지원을 강화한다.

지역·중소기업의 역량 강화와 자생적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R&D 특구, 지역 특화산업 등 지역별 산업·혁신생태계를 강화한다. 지역 뉴딜, 출연연·테크노파크·전문연의 연구장비·전문인력 등 지역 인프라와 R&D 투자의 연계성을 높인다. 유망 중소·벤처 기업을 발굴하고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들이 혁신적 R&D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연구성과 기반의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한국판 뉴딜, BIG3, D.N.A 등 정책·신산업 분야의 산·학·연 연구성과 기반 기술창업을 활성화한다. 성장단계별로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우수 원천연구 성과물에 대해 시험·인증 등 후속연구 지원을 확대하고, 초기 상용화까지 연계·지원하는 패키지형 사업화 R&D를 강화한다.

R&D 성과와 투자 효과를 높이기 위한 투자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한다. R&D 전주기에 걸쳐 민·관 협업을 추진한다. 우수 연구성과를 사업화로 연계하는 범부처 이어달리기 사업과 정부가 그 성과의 구매자가 되는 혁신조달 연계 R&D 사업을 강화한다. 종합사업관리제도(PM)를 도입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예산에 대한 성과관리를 강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아주경제 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