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 DB]
9일 금융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22일 제재심을 열고 진 행장의 징계 수위를 결정한다.
금감원은 지난 8일 진 행장의 징계 수위를 결정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우리은행 징계수위 논의가 늦어지면서 22일 제재심을 열기로 했다.
앞서 금감원은 진 행장에게 '문책경고'를,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의 경우 경징계에 해당하는 ‘주의적 경고’를 통보했다.
금융사 임원에 대한 제재 수위는 해임 권고·직무정지·문책경고·주의적경고·주의 등 5단계로 나뉜다. 이 중 문책 경고 이상은 3∼5년 금융사 취업을 제한하는 중징계에 해당된다. 금융회사 제재는 등록인가 취소·업무정지·시정명령·기관경고·기관주의 등 5단계다. 기관경고부터 중징계로 분류된다.
원안대로 진 행장이 문책경고를 받게 되면 3년간 금융사 취업이 제한된다. 2022년 12월까지인 진 행장의 이번 임기가 끝나면 연임이 불가능하다.
진 행장의 중징계가 확정될 경우 그룹 지배구조도 복잡해진다. 진 행장은 신한금융의 유력한 차기 회장 후보로도 꼽히기 때문이다. 진 행장이 후계 경쟁에서 탈락하게 될 경우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 성대규 신한생명 사장 등이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다.
다만, 금융권에서는 오는 19일 예정된 라임펀드 분조위 결과가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우리은행이 분조위 결정을 수용하면서 손태승 회장의 징계수위가 당초 사전 통보한 '직무정지'에서 '문책경고'로 한 단계 수위가 낮아졌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달 손실미확정펀드의 분쟁조정안과 피해자 원금 전액반환 결정을 내린 분쟁조정안을 모두 수용했다.
‘금융기관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금융사 제재 수위를 결정할 때 사후 피해수습 노력을 반영할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은행이 지난달 분조위 결정을 수용한 것이 손태승 회장의 징계수위 감경 사유로 보인다"며 "신한은행이 오는 19일 열리는 분조위의 분쟁조정안 수용여부가 징계 수위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