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 세계 메모리반도체 매출액이 올해보다 16% 상승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이 속한 메모리반도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이 전 세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는 내년 전 세계 메모리반도체 업계가 1804억달러(약 203조원) 매출을 올리며 2018년 기록한 역대 최대 1633억달러(약 185조원)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에는 매출이 내년보다 22% 올라 2196억달러(약 247조원)를 기록, 호황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업계에서는 IT 기기 판매 확대, 데이터 서버 증설 등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반도체 호황기가 도래할 것이라는 분석이 꾸준히 나왔다.
실제로 IC인사이츠는 올해 전 세계 메모리반도체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23% 증가한 1552억달러(약 175조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추가로 향후 2년 동안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1552억달러 규모에서 2196억달러 규모로 41.5%가량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반도체 초호황을 예고했다.
한편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은 매출 기준 D램이 56%, 낸드플래시가 41%를 차지하며 양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이 속한 메모리반도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이 전 세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는 내년 전 세계 메모리반도체 업계가 1804억달러(약 203조원) 매출을 올리며 2018년 기록한 역대 최대 1633억달러(약 185조원)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에는 매출이 내년보다 22% 올라 2196억달러(약 247조원)를 기록, 호황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로 IC인사이츠는 올해 전 세계 메모리반도체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23% 증가한 1552억달러(약 175조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추가로 향후 2년 동안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1552억달러 규모에서 2196억달러 규모로 41.5%가량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반도체 초호황을 예고했다.
한편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은 매출 기준 D램이 56%, 낸드플래시가 41%를 차지하며 양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장문기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