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경기도 제공]
도는 전국 최초로 경기 청년 1만248명이 참여한 2차례의 여론조사와 숙의토론 등 청년정책 공론화 과정을 거쳐 이같이 결론을 내고 이를 종합해 ‘경기도 청년정책 비전 수립 공론화 백서’를 최근 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도는 지난해 청년기본법 제정 이후 청년 도민의 목소리를 수렴하기위해 공론화 과정을 추진했다.
공론화 과정은 지난해 12월 1차 여론조사(5000명), 올 1월 1차 숙의 토론(55명), 3월 2차 여론조사(5000명), 4월 2차 숙의 토론(193명)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공론화 과정에서 주요 결과를 보면 1차 여론조사에서 토론하고 싶은 정책을 묻는 말에 청년들은 주거(38.8%), 취업(27.9%), 자산 형성(14.1%), 창업(6%) 등 자립 지원정책을 주로 꼽았으며 문화·여가(3.7%), 건강(3.5%)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런 흐름은 1차 숙의 토론으로도 이어져 관심 정책 분야로 주거(29.1%), 자산 형성(23.6%), 일자리(21.8%) 등이 높게 나타났다.
2차 여론조사에서도 상위권은 취업·창업(27.6%), 주거(27.4%), 자산 형성(24.3%) 등으로 유지됐다.
나머지 의견은 청년정책 참여(11.2%), 청년 공간 확대(9.1%) 등이며 마찬가지로 2차 숙의 토론에서 정책 언급량 1위는 일자리·창업(24%)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청년들은 경기도 청년정책의 비전을 ‘내 삶을 바꾸는 경기, 경기청년자립’, 슬로건을 ‘내일을 채우는 청년, 꿈을 그리는 경기’로 각각 선정했다.
이밖에 도는 5개 분야별 청년들이 원하는 정책 키워드를 정리해 분야별로 △참여 분야 ‘청년 스스로의 참여 확대’ △일자리 분야 ‘일자리 측면에서 청년 기회 제공’ △주거 분야 ‘청년의 안정을 지원하는 주거정책’ △자산 분야 ‘청년의 자립과 생활 지원’ △생활 분야 ‘건강한 청년의 삶 기반 조성’ 등이다.
도는 청년들이 제시한 경기도 청년정책의 방향과 비전을 바탕으로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해 청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며 ‘‘공론화 백서’는 내달 중으로 시·군과 일반에 배포할 예정이다.
정현아 도 청년복지정책과장은 “청년정책 비전을 청년들 스스로가 토론을 통해 결정한 점이 이번 공론화 조사의 가장 큰 성과”라며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해 앞으로도 경기도 청년들과 함께 고민하고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