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은 LS엠트론 회장이 서울 자택에서 꿀벌을 키우는 사진이 공개됐다.
2일 LS그룹에 따르면 구 회장은 도시 양봉을 통한 ‘꿀벌 살리기 운동’에 동참하는 등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환경오염 문제 개선에 힘을 보태고 있다.
구 회장이 지난해 서울 자택 뒤뜰에 설치한 벌통에 서식하는 꿀벌은 1년 사이에 4만 마리에서 15만 마리로 늘어났다.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는 꿀벌을 살리고자 시작한 양봉이지만 부수적으로 연간 10리터 규모의 꿀이 생산돼 구 회장은 이를 가까운 지인들에게 선물하고 있다.
구 회장은 이 선물에 ‘꿀벌의 개체 수를 늘리고자 양봉을 시작했는데, 꿀이 너무 많이 차서 할 수 없이 생산한 꿀’이라는 문구를 넣어 이 캠페인을 홍보하고, 지인들의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꿀벌은 식물의 꽃과 꽃 사이를 다니며 수분(受粉)을 하는 곤충으로, 멸종될 경우 인간이 재배하는 주요 100대 작물의 70% 가량이 없어질 수도 있다. 국제연합(UN)도 2017년부터 매년 5월 20일을 ‘세계 꿀벌의 날’로 정하는 등 꿀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LS그룹 연수원인 LS미래원도 지난 7월부터 안성시 농업기술센터와 협업해 토종 꿀벌 육성 사업에 동참하고 있다. 26개의 벌통을 설치해 토종꿀벌 약 40만 마리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것이다. LS그룹은 11월경 수확이 예상되는 토종꿀을 안성시 내 복지시설, 저소득층에게 전달할 방침이다.
2일 LS그룹에 따르면 구 회장은 도시 양봉을 통한 ‘꿀벌 살리기 운동’에 동참하는 등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환경오염 문제 개선에 힘을 보태고 있다.
구 회장이 지난해 서울 자택 뒤뜰에 설치한 벌통에 서식하는 꿀벌은 1년 사이에 4만 마리에서 15만 마리로 늘어났다.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는 꿀벌을 살리고자 시작한 양봉이지만 부수적으로 연간 10리터 규모의 꿀이 생산돼 구 회장은 이를 가까운 지인들에게 선물하고 있다.
꿀벌은 식물의 꽃과 꽃 사이를 다니며 수분(受粉)을 하는 곤충으로, 멸종될 경우 인간이 재배하는 주요 100대 작물의 70% 가량이 없어질 수도 있다. 국제연합(UN)도 2017년부터 매년 5월 20일을 ‘세계 꿀벌의 날’로 정하는 등 꿀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LS그룹 연수원인 LS미래원도 지난 7월부터 안성시 농업기술센터와 협업해 토종 꿀벌 육성 사업에 동참하고 있다. 26개의 벌통을 설치해 토종꿀벌 약 40만 마리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것이다. LS그룹은 11월경 수확이 예상되는 토종꿀을 안성시 내 복지시설, 저소득층에게 전달할 방침이다.

구자은 LS엠트론 회장이 서울 자택 뒤뜰에서 양봉 중인 벌통을 점검하고 있다.[사진=LS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