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대선이다] 첫 승부처 ‘충청’ 결국 이재명 선택…과반 넘었다

5일 오후 충북 청주시 서원구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기 위한 '충북·세종 민주당 순회 경선'에서 (왼쪽부터) 이재명, 김두관, 이낙연, 박용진, 추미애 후보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충청지역 민심은 결국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택했다. 이 지사는 여권 대선 경선의 첫 스타트인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과반을 득표, 향후 대권 가도에 날개를 달 것으로 보인다. 

5일 충북 청주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종·충북 경선에서 이 지사는 7035표를 얻어 54.54%의 득표율을 얻었다. 이낙연 전 대표는 29.72%,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7.09%, 정세균 전 국무총리 5.49%, 박용진 의원 2.22%, 김두관 의원 0.93% 순이었다.

이 지사는 전날 열린 대전‧충남 경선에서도 최종 득표율 54.81%로 1위를 기록했다. 이 전 대표는 27.41%, 정 전 총리 7.84%, 추 전 법무부 장관 6.67%, 박 의원 2.44%, 김 의원 0.84% 순이었다.

대전‧충남과 세종‧충북의 누적투표자수를 종합해보면 이 지사가 2만1047표를 얻어 54.7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이 전 대표는 28.19%에 그쳤다.

이로써 이 지사는 첫 순회경선 지역인 ‘스윙보터’ 충청에서 기선제압에 성공했다. 이 지사 측은 “이 지사가 성남시장과 경기지사를 맡으며 강력한 추진력을 보여준 점이 충청권 공약을 반드시 이행할 것이란 기대감을 갖게 했다”고 승리를 분석했다.

◆대구‧경북과 강원···1차 슈퍼위크 ‘주목’

이 지사가 충청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얻은 가운데 다음 경선지역인 대구‧경북과 강원지역의 결과도 주목된다. 또 첫 ‘슈퍼위크’인 오는 12일에는 대전·충남, 세종·충북, 대구·경북, 강원 선거인단에 더해 1차 국민·일반당원 선거인단을 포함한 총 75만1008명의 투표 결과가 공개될 예정이어서 민주당 대선 순회경선의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 지사는 여기서도 선두를 달릴 경우 본선행에 한층 더 가까워질 전망이다.

이날 민주당에 따르면 3차 선거인단 모집까지 약 190만명의 선거인단이 등록했다. 다만 오는 14일까지 3차 선거인단 신청을 받는 만큼 민주당은 총 선거인단 수가 220만명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1차 슈퍼위크에 이어 내달 3일 치러지는 2차 슈퍼위크 결과에 따라 민주당 대선경선 결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경선의 정확한 투표율을 예상할 순 없으나, 과거 민주당 경선 투표율(2017년 76.6%, 2012년 56.7%)을 고려해 약 50%의 투표율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투표인원 110만명의 절반인 55만명으로부터 지지를 받을 경우 최종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55만명이 ‘매직넘버’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 지사가 충청지역의 여세를 몰아 대구‧경북, 강원에서도 선전하며 1차 슈퍼위크를 압도한다면, 2차 슈퍼위크에서 매직넘버를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이 지사는 결선투표 없이 본선행이 가능해진다.

◆광주‧전남, 최대 분수령…‘추석 민심’ 바로미터

다만 최대 분수령으로 불리는 광주‧전남, 전북지역에서 진행되는 3주차 경선 결과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낙연 전 대표가 이 지사를 크게 따돌릴 경우 승부를 예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전체 당원 70만명 중 호남 당원의 숫자는 20만명이 넘는다. 호남 출신인 이 전 대표는 호남지역에 승부수를 걸고 있다.

이 전 대표 측은 슈퍼위크 이후 호남 경선에서 의미 있는 득표율로 이 지사를 따라붙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 대선 경선은 추석을 바로 지난 오는 25일 치러진다. 결국 추석민심이 민주당 최종 대선후보를 가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또 1차 선거인단 투표 결과 이후 후보 간 합종연횡 등 연대 분위기가 조성될 경우 향후 판세 역시 확 바뀔 가능성도 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오는 2차 슈퍼위크 기간까지 치열한 경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민심잡기와 함께 네거티브 공방 역시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