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컨 장관은 지난 7일 카자흐스탄 사태에 왜 러시아가 개입하는지를 모르겠다고 밝히면서, 일단 러시아 군대가 들어온 뒤에는 철수가 힘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역사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러시아 군대가 일단 주둔하면 그들을 다시 집으로 돌려보내는 것은 힘들다는 점이다"라고 강조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은 텔레그램 미디어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만약 블링컨 장관이 역사 수업을 좋아한다면, 미국이 주둔할 경우 해당 국가들은 강도나 강간을 당하지 않고는 살아있지 못했단 사실을 잘 알 것이다"라면서 "가까운 과거뿐만 아니라 미국 300년 역사 내내 그랬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이어 러시아가 카자흐스탄에 군대를 파견한 것은 러시아와 구소비에트연방의 국가들이 함께 만든 공동안보협정기구의 원칙에 기반해 카자흐스탄이 요청했기 때문에 이뤄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이터는 10일 우크라이나 문제를 둘러싸고 대화를 앞두고 있는 양국이 카자흐스탄 문제 탓에 더 관계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연료비 급등으로 촉발된 카자흐스탄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는 사그라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시위대를 ‘살인자’로 규정하며 군에 이들에 대한 경고 없는 조준사격을 허가한다고 밝혔다. 러시아군 공수부대를 포함한 옛 소련권 안보동맹의 병력이 현지에 파견됐다.
이런 상황에서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러시아 군대의 파견 배경에 의문을 표했다. 워싱턴 기자회견을 통해 “카자흐스탄 정부가 시위 사태에 충분히 대응할 능력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왜 외부세력이 필요한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매우 큰 우려를 가지고 (카자흐스탄) 사태를 지켜보고 있으며 모두가 평화적 해결책을 찾기를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