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2020년과 비교해 1만3000가구가량 늘었다. 정부가 공급 중심으로 주택정책 기조를 바꾼데다 지난해 4월 재보궐 선거에서 '정비사업 활성화'를 공약으로 내세운 오세훈 서울시장이 취임한 이후 서울시가 주택 공급을 추진한 결과로 보인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5만3662가구로 2020년 3만404가구보다 76.5% 늘었다. 해당 가구 수는 2004년 통계가 집계된 이후 둘째로 많다.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하기 위한 허가 신청이 절정을 이뤘던 2017년 7만4984가구 이후 지속해서 감소했다. 서울시는 2018년에는 3만2848가구, 2019년 3만6330가구를 인허가했다. 2004년부터 2017년까지는 연평균 4만1400가구가 인허가 됐던 것과 비교하면 적은 편이었다.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3~5년 뒤 공급 물량(입주)을 나타내는 선행 지표다. 인허가를 받은 뒤 공사가 진행되는 기간을 보통 3년으로 잡기 때문이다. 분양을 진행하는 기간 등을 포함하면 3년보다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2018년 전후로 인허가를 받은 단지는 올해나 내년에 완공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내년부터 아파트 공급절벽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왔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2017년 인허가 물량이 소진된 상황에서 앞으로 몇 년간 서울에서 아파트 입주물량이 적을 가능성이 크다”며 “지난해 늘어난 인허가 물량은 2025년은 돼야 시장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몇 년간 너무 적게 진행됐던 인허가 물량이 지난해 들어 정상화 수준으로 돌아왔다”며 “인허가 물량 증가가 꾸준하게 유지된다면 장기적으로 공급이 될 것이라는 인식이 생기고, 시장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서울 외에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도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발표한 ‘2021년 주택 공급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54만5412가구로 전년 45만7514가구에 비해 19.2% 증가했다.
주택 인허가 실적이 전년보다 증가한 건 2015년 이후 6년 만이다. 앞서 정부가 인허가에 소극적인 부분이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꼽히기도 했다.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15년 76만5328가구로 고점을 찍은 뒤 2017년(65만3441가구)을 기점으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국토부는 2021년 주택 공급실적을 발표하면서 정부 공급대책과 서울시 신통기획 등으로 중장기 공급여건은 더욱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