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시민단체인 금융정의연대는 이날 논평을 통해 "우리은행 직원의 횡령은 3차례에 걸쳐 10년 동안 이어졌으나 해당 은행은 이를 전혀 몰랐고 금감원 역시 외부 회계감사와 종합감사 등에서 이를 적발하지 못했다"면서 "만약 돈이 인출될 상황이 아니었다면 횡령사실은 여전히 아무도 몰랐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단체는 특히 △해당 직원이 횡령에 이용한 우리은행 특별관리계좌가 입출금 시에 부서장 결제를 받도록 제한을 두고 있음에도 어떠한 이유로 직원 개인이 마음대로 입출금이 가능했는지, △또한 한 직원을 같은 자리에 오래 두도록 한 우리은행의 내부통제 체계를 재점검할 필요하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연대 측은 "시중은행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이미 DLF, 라임펀드 등 사모펀드 사태로 은행들의 내부통제 부실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른 적이 있는 데다 고객 돈을 관리하는 은행에 대한 신뢰와 더불어 실제 물질적 피해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 같은 내부통제 부실 상황이 타 은행에도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외부 회계감사를 받는 우리은행이 10년간 직원 횡령을 통제하거나 적발할 수 없는 구조라면 다른 시중은행 역시 비슷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단체는 "금감원이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우리은행에 대한 현장 종합검사를 실시했음에도 횡령 사실을 적발하지 못한 것은 금감원 검사가 부실했던 탓도 있다"며 "금감원은 짧은 기간 모든 업무를 다 확인할 수 없다고 항변하지만 이는 무책임한 변명"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해당 단체는 그동안 '먼지털이식 검사'로 비판받았던 금감원 종합검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부실검사에 대한 감독당국 책임을 촉구하고 나섰다. 단체는 "금감원은 이 사건을 계기로 지난 기간의 종합검사 결과를 세세히 공개하고, 모든 시중은행들에 자체검사를 하도록 조치해 지금이라도 철저하게 단속에 나서야 한다"며 "더 이상 사후약방문 조사가 아닌 검사제도에 대한 종합적 논의와 검사제도 개선, 재발방지 등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