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경기도교육청]
탄소중립 중점학교는 관계부처 공모를 통해 전국 단위로 선정되고 시범학교는 도교육청에서 자체 선정되는데 두 학교 모두 환경교육과 탄소중립 실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23년 탄소중립 중점학교는 신규 9교와 기존 중점학교 중 선도모델 3교가 있다.
도교육청은 중점·시범학교 운영 내실화를 위해 △탄소중립 환경교육 교육과정 공유 △6개 권역 네트워크 구축 △탄소중립 실천문화 조성 △교원 역량강화 △운영교 협의회를 운영한다.
특히 ‘경기 환경교육 교사지원단’을 구성해 지원단과 중점·시범학교 담당자들과 매월 1회 정례적 모임을 진행하고 중점·시범학교 운영을 지원한다.
정례 모임에서는 △환경교육 실천 사례 공유 △탄소중립 실현 교육과정 나눔 △학교 공간 탐방 △과천과학관 기획전 연계 Science Communicator 연수 운영 △환경교육 정책 제안 등 기후· 환경위기 교육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
도교육청 이현숙 융합교육정책과장은 “기후위기 시대에 생태전환교육을 위해 탄소중립 실천이 중요하다”라며 “탄소를 줄일 수 있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수업에서 펼치고 미래를 상상하며 함께 만들어가는 실천 중심 환경교육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지난 11일과 18일 중점·시범학교 대상 워크숍을 개최해 △국가환경교육센터(환경보전협회) 사업 △정부 6개 부처의 환경교육 지원 내용 △경기환경에너지원 소개와 환경교육 지원 사업 등을 안내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