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경기도]
도에 따르면 노인말벗서비스는 챗지피티 등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정에 접목한 것으로 도는 국내 포털사와 제휴를 맺어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서비스는 인공지능 상담원이 주 1회 서비스 대상 노인의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어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발신 번호는 도에서 지정한 번호로 표시가 되며 전화를 받지 않으면 최대 3회까지 전화를 걸고 3회 모두 전화를 받지 않으면 담당 직원이 직접 전화하게 되며 역시 전화가 안 되면 읍·면·동 복지서비스 담당자가 직접 거주지를 방문해 상황을 확인할 예정이다.
도는 사전 발굴 대상자 1800명을 대상으로 오는 7일부터 16일까지 1차 신청을 받아 서비스를 19일부터 본격적으로 개시한 후 서비스를 원하는 65세 이상 노인은 상시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독거노인을 우선 선정하지만 아니어도 신청할 수 있으며 이후 유사 사업 중복 확인 등을 거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고 지속적으로 대상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경수 도 노인복지과장은 “‘노인말벗서비스’가 노인들의 외로움·우울감을 덜어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고 주기적 챙김 기능으로 건강한 식사 및 운동을 건강한 생활을 유도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경기도는 복지 사각지대의 위기 상황을 예방하고 적시에 개입할 수 있는 돌봄 안전망을 지속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