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법광고 주요 유형. [사진= 금융감독원]
최근 '정부 지원', '서민금융' 등 정책금융을 사칭한 불법광고가 늘면서 대출사기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고금리 대출이나 보이스피싱 등 대출사기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는 판단에서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19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9일까지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에 '서민금융', '채무통합' 등 관련 피해신고 상담이 132건 접수됐다. 또 보이스피싱 피해구제 신청 건수 중 대환대출 사칭 피해 건수 비중은 올해 1∼5월 7.8%로, 전년 동기(3.9%)보다 3.9%포인트 증가했다.
불법광고 유형으로는 서민금융진흥원과 유사한 상호를 사용하거나 '정부지원 대출' 등 문구를 사용해 정부·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공식사이트로 오인하도록 하는 사례가 확인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런 불법광고가 고금리대출·대출사기나 불법수수료 편취 등으로 이어진 사례가 있었다"며 "한국대부금융협회와 '정부지원 서민 금융상품 사칭 온·오프라인 불법광고' 점검을 실시하고, 미등록업자의 불법대부광고 적발 시 전화번호 이용중지·온라인 게시물 차단 등을 의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