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4세대 실손이 출시된 지난 2021년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손해보험업계 4세대 계약 전환 누적 건수는 총 83만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까지 실손 전체(1~4세대) 가입 건수가 3997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4세대 전환율은 2.07%인 셈이다. 아울러 같은 기간 손보업계 4세대 신규 계약 건수는 162만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계약 건수를 더해도 4세대 실손은 전체 실손 비중의 6.12%(245만건)에 불과했다.
손보사들이 전체 실손의 80% 이상 차지하는 것을 감안하면, 생명보험업계 4세대 실손 수치를 추가해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게 금융권의 견해다. 금융권은 손보업계 실손 세대별 가입자의 10%를 생보사 실손 가입자로 추산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보험권 일각에선 월 평균 전환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여전히 미미하다는 평가다. 최근 보험협회가 1∼3세대 실손 가입자의 4세대 전환 시 보험료를 50% 할인해주는 혜택을 올 연말까지 또 한 번 연장한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보험업계는 지난 2022년 1월 첫 50% 할인 혜택 제공 후 이번까지 총 3차례 혜택을 연장했다.
진료 자기부담금이 기존 실손 대비 높은 점도 소비자들에게는 부담이다. 1세대 실손 가입자는 일부 치료비 전액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2세대의 경우 급여·비급여 등 조건에 따라 치료비의 10~20%를 가입자가 부담한다. 3세대 자기부담금은 급여 10~20%, 비급여 20~30%다. 반면 4세대는 급여 20%, 비급여 30%다. 여기에 4세대는 비급여 치료 일부를 특약으로 분리해 보장범위가 좁아졌다는 불만도 나온다.
한상용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당국 및 보험업계가 4세대 전환을 위한 혜택 연장 및 홍보 등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기존 1~3세대 가입자들이 4세대로 전환할 유인 요소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4세대 실손 출시 2주년을 맞아 당국의 보험료 할증 및 자기부담금에 대한 손질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