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감] 송미령 장관 "벼멸구 피해, 농업재해로 인정할 것"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이 1일 오후 전북 임실의 벼멸구 피해현장을 방문해 수확기 작황과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이 지난 1일 오후 전북 임실의 벼멸구 피해현장을 방문해 수확기 작황과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최근 고온 영향으로 전남 등을 중심으로 벼멸구 피해가 컸던 만큼 벼멸구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식품부 국정감사에서 문금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재해 인정 여부에 대해 관계부처 협의를 완료했다"며 이같이 답했다.

농식품부는 이날 차관이 위원장인 재해대책심의위에서 벼멸구를 농업재해로 인정하도록 결정할 예정이다. 송 장관은 "피해조사는 오는 21일까지 각 지자체가 입력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 장관은 벼멸구 피해 벼는 농가의 희망 물량을 전량 매입하고 재해보험금을 신속히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농식품부는 지난 1일 해충 벼멸구 확산으로 피해를 본 농지 면적이 3만4000ha(헥타르·1ha는 1만㎡)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여의도 면적(290㏊)의 117배에 해당한다.

벼멸구는 벼의 줄기에서 즙액을 먹는 해충으로, 벼멸구가 생기면 벼가 잘 자라지 못하고 심하면 말라 죽게 된다. 올해의 경우 지난달까지 고온이 지속되면서 벼멸구가 대거 번식해 피해 규모가 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