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미·중 간 관세 전쟁은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아주 가까운 미래에 상황이 완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CNBC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JP모건 체이스 주최 비공개 투자자 행사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지만, 결국 타협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목표가 “미·중 디커플링(탈동조화)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양국이 서로에게 125%가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사실상 수출 금지 수준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면서, “이 상태가 지속 가능하다고 보는 이는 아무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협상은 어려울 수 있지만 결국 진행될 것이며, 타협점이 마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또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완화될 경우 “세계 경제와 시장에 안도감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포괄적 합의가 이뤄지는 시점은 2~3년 내가 될 것으로 보이며, 중국은 내수를 확대하고 미국은 제조업을 강화하는 방향의 구조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악관도 양국 간 무역 협상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합의를 위한 준비는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취재진에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협상 발판을 마련하고 있으며, 상황은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직접 통화 여부에 대해서는 “오늘은 공유할 내용이 없다”고 답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집권 이후 중국에 대해 상호관세 125%, 펜타닐 관세 20%를 포함해 총 145%에 달하는 고율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중국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다”며 협상 의지를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한편 레빗 대변인은 미국 무역팀이 이번 주에만 34개국과 회담을 진행하며, 이 가운데 한국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한국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협상에 나선다.
레빗 대변인은 또 미국과 무역 협정을 맺기 위해 100개국 이상이 관심을 보였으며, 현재까지 18건의 서면 제안서를 접수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의 일대일 담판을 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중국은 협상 주도권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공개 쇼’로 활용할 가능성 등을 이유로, 시 주석이 직접 나설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