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충격' 지원하지만…은행권, 中企 연체에 '건전성' 부담

  • 4대 은행, 수조원대 금융지원…부실대출 늘고, CET1 떨어질라

기업대출 관련 참고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의 관세 부과 정책에 국내 기업이 경영상 어려워질 조짐을 보이자 국내 은행권도 기업 지원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하지만 금융 지원과 동시에 악화하는 건전성을 관리해야 하는 은행의 딜레마는 점차 커지고 있다. 이미 내수 부진 등으로 기업의 대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탓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이달부터 상호관세 부과로 수출기업과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이 겪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KB국민은행은 총 8조원 규모 금리 우대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영업점 전결 금리 우대 한도를 총 1조5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늘렸다.

또 하나은행은 6조원 규모 자금 공급에 나섰다. 기존에 운영하던 ‘주거래 우대 장기대출’ 한도를 3조원 증액했고, 3조원 규모 금리 우대 대출을 신설했다. 관세 피해로 유동성 위기에 놓인 기업은 원금 상환 없이 대출 기한을 연장하고, 분할 상환을 유예하는 등 다양한 금융 지원을 병행하고 있다. 이처럼 은행을 포함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지원하는 총 자금만 35조원에 달한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이른바 ‘관세전쟁’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국내 기업 등이 자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우려는 차원이다. 지난달 12일부터 전 세계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가 시작됐고, 이달 모든 수입품에 기본관세 10%가 추가됐다. 또 오는 7월엔 90일간 유예했던 국가별 상호관세 25%가 적용될 예정이다.
 
문제는 최근 들어 계속된 내수 부진 상황과 맞물려 이미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자금 상환 능력이 한계에 달했다는 데 있다. 4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2019년 0.24~0.35%에서 올해 1분기 말 0.48~0.50%로 하단 기준 24bp(1bp=0.01%포인트) 높아졌다.
 
중소기업에 특화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책은행 특성상 IBK기업은행 상황은 더 심각하다. IBK기업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작년 0.83%로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1.01%) 이후 최대 수준이다.
 
정부도 나서 관세 관련 기업에 대한 원활한 자금 공급을 강조한 만큼 금융 지원을 축소하기도 쉽지 않다. 지난 7일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금융지주 회장들이 함께 참석한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이럴 때일수록 금융이 본연의 기능을 보다 충실히 해 시장 안정을 유지하고, 금융중개가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부실대출이 늘면 은행은 건전성 지표인 보통주자본(CET1) 비율이 점차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CET1 비율은 보통주 자본을 위험가중자산(RWA)으로 나눈 값인데, 대출을 내주는 기업의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RWA에 더 큰 가중치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건전성 관리 측면에서 중소기업 대출을 적극적으로 내주기는 힘든 상황”이라며 “CET1은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과도 연계되기 때문에 더 민감하게 관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