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는 인공지능(AI) 가치사슬 혁신과 전국민 AI 일상화를 위한 1조5000억원의 예산 확대를 요청했다고 28일 밝혔다. 예산안은 협회 산하 초거대AI추진협의회 등 AI 산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작성됐다.
KOSA는 지난주 국회에 제출된 1조8000억원 추가경정예산(추경)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인프라부터 모델·데이터·서비스·인재 양성까지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균형 있는 투자가 시급하다며 제안 이유를 설명했다.
미국·유럽·중국 등 주요국이 AI 가치사슬 투자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이번 제안은 우리나라가 AI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2년 내 아시아 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담고 있어 의미가 크다.
예산안은 6대 핵심 분야에 걸친 균형 있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AI 인프라(1500억원) △AI 데이터(4900억원) △AI 모델(4000억원) △AI 서비스·응용(1700억원) △AI 윤리·신뢰성·거버넌스(1100억원) △AI 인력 양성 및 기업 지원(1800억원) 등이다.
추가 예산 투입을 통해 △고품질·합성 데이터와 국산 AI SW 생태계로 AI 경쟁력 강화 및 기술 자립 확보 △제조·의료·금융에 생성형·멀티모달 AI 확대로 생산성·서비스 혁신 가속 △AI 윤리·신뢰성 인증으로 기업의 글로벌 규제 대응력·신뢰도 제고 △글로벌 협력·현장 교육으로 AI 인재 역량 및 스타트업 스케일업 강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유라클 대표이사)은 "AI 산업 성장의 핵심은 단일 기술이 아닌 가치사슬 전반의 균형 있는 발전에 있다"며 "이번 1.5조 원 규모 예산 제안은 AI·SW 기업과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국가 경제 전반의 AI 혁신을 이끌어내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이 한국 AI 기술 자립의 골든타임이며, 예산 확대를 통해 우리나라가 아시아 AI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