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기업 회복 위해 11조 규모 재정지원 확대

  • 부가세 감면·전기차 감세·전자상거래 과세 등 세제정책 다각화

  • 재정 안정도 병행 추진

베트남 내 한 섬유 수출 공산 원사 생산 모습 사진베트남통신사
베트남 내 한 섬유 수출 공산 원사 생산 모습 [사진=베트남통신사]


베트남 정부가 경기 회복과 기업 지원을 위해 11조원 규모의 재정 패키지를 본격 가동한다.

4일 베트남 현지 매체 베트남플러스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기업과 국민의 경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204조 동(약 11조1996억원) 규모의 재정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세금 감면과 디지털 전환에 기반한 재정정책 확대가 베트남 경제 회복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베트남 재정부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누적된 지원 규모는 900조 동에 달하며, 올해는 전년 대비 더 많은 204조 동의 지원이 예정돼 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과 글로벌 충격 대응에 필요한 성장 여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부가가치세(VAT) 2% 인하 조치는 2025년 6월까지 연장되며, 2026년 말까지 추가 연장을 추진 중이다. 배터리 전기차에 대한 자동차 등록세는 2027년 2월 28일까지 면제되고, 자동차 산업 지원을 위한 수출입세 인하 및 세제 혜택도 2027년 말까지 유지된다.

베트남 정부는 또한 전자정부 서비스에 적용되는 수수료 및 각종 행정 수수료를 10~50% 감면하고 부가가치세, 특별소비세, 법인세 납부 기한 역시 올해 2월부터 6월까지 순차적으로 연장할 방침이다.

막꾸옥아인(Mac Quoc Anh) 하노이 중소기업협회 부회장은 “세금 및 수수료 감면은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에게는 생존을 위한 필수 조치”라며, “정부의 빠른 대응이 기업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전자상거래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세제 개편도 시행됐다. 2025년 4월 1일부터는 온라인 결제 기능이 있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입점 개인사업자와 소규모 사업자를 대신해 원천징수 및 세금 납부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세금 준수율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베트남 재정부는 세정 행정 간소화 및 디지털 전환을 세제 개혁의 두 축으로 삼고 있으며, 기술 도입을 통해 국민과 기업이 보다 낮은 비용으로 정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재정부는 앞으로도 세계 및 국내 경제 동향에 맞춰 탄력적인 재정정책 시나리오를 마련해 정부에 제안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재정 건전성과 거시 안정성 유지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