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국토부는 처음 보는 사칭사례에 당황하며 조합원의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했다. 과열 양상이 확인될 경우 적극 개입하겠다는 얘기다. 입찰 참여 6개사는 모두 이번 사건과 관련해 아는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16/20200316142011241870.jpg)
지난 15일 오후 3시 발신번호 표시제한으로 온 서울시 사칭 설문조사. [사진 = 김재환 기자]
16일 본지 취재 결과, 지난 15일 오후 2시께부터 5시간가량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조합원을 대상으로 한 ‘서울시 재건축연구소’라는 곳의 설문조사가 진행됐다.
설문 내용은 △현재 입찰 의향서를 제출한 건설사 중 어디를 선호하는지 △건설사별 브랜드 선호 순서 △현재 설계안과 대안설계 중 어떤 것이 더 좋은지 등이다.
제보자 7명의 발언을 종합하면, 발신자 번호가 없었고 콜센터처럼 한 장소에서 여러 상담원이 전화를 돌리는 형태로 조사가 이뤄졌다.
반포3주구 조합원 C씨는 "조합이 조합원 명단을 넘기지 않았으면 어떻게 이런 전화가 오겠냐"며 "입찰 의향서를 낸 시공사 중에 한 곳이라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또 조합원 D씨는 "남편하고 저에게 모두 전화가 왔다"며 "개인정보 유출로 수사를 해야할 것 같다. 조합의 협조를 받은 특정 시공사가 틀림없다"고 말했다.
조합원들은 배후세력으로 두 곳을 의심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적극적으로 홍보 요원을 동원한 A사와 최근 마스크를 제공하겠다며 접촉하고 있는 B사다.
현재 입찰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건설사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6개사다.
이런 의심에 관해 건설사들은 모두 관련이 없다거나 오히려 타사의 행각일 가능성이 있다고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우리는 절대 아니다”라며 “오히려 아직도 홍보 요원을 현장에 남겨둔 E사일 가능성이 있다.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그런 행위가 있다는 제보를 받기는 했는데 누구인지는 정확히 모르겠다"며 "서울시 조사가 시작될 텐데 너무 현명하지 못한 결정인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시와 국토부는 정부를 사칭한 시공사 선호도 조사는 전례 없는 일이라며 적극적인 제보와 수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순규 서울시 공동주택과장은 “과열 수주전을 방지하기 위한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포상금도 지급하고 있기에 조합원께서 꼭 활용해주시길 당부드린다”며 “제보 내용을 추려 문제의 소지가 있다면 적극 조처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