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노조, 준법운행 재개…8일 파업 여부 논의

  • 시, 지하철 47회 증편 등 교통대책 마련

  • 통상임금 이슈 관련 시·도 공동대책 회의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7일 새벽 첫 차부터 준법투쟁에 재돌입했다. 통상임금 문제를 놓고 노사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 준법투쟁이 전면 파업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노사 간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결렬된 다음 날인 지난달 30일 준법투쟁에 돌입한 이후 이날 새벽 4시 첫 차부터 준법투쟁을 재개했다. 준법투쟁은 승객이 교통카드를 찍고 자리에 앉을 때까지 출발하지 않는 등 승객 안전을 확보하며 운행해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노사는 최근 물밑에서 의견을 나눴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8일로 예정된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회의에서 향후 전면 파업 여부와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한다.

노사 간 핵심 쟁점은 통상임금 개편 문제다. 노조는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임금 부담이 너무 크다며 임금체계 자체를 개편한 뒤 임금 인상률을 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버스 노조 준법투쟁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교통대책을 마련했다. 지하철 출근 혼잡시간을 오전 7시에서 10시까지 1시간 늘려 운영하고 출근 시간대 지하철 운행 횟수도 47회 늘린다.

시는 만일 노조의 전면 파업이 진행되면 이에 대비해 세워둔 비상수송대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비상수송대책에 따라 출퇴근 혼잡을 줄이기 위해 지하철 운행을 1일 총 173회 늘린다. 또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도 익일 새벽 2시까지 연장한다.

또 지하철 출퇴근 연계를 위해 서울 25개 각 자치구에서 무료셔틀버스를 운행한다. 특히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민·관 차량 500여 대를 즉시 투입할 예정이다.

시는 이날 대법원 통상임금 판결이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공동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대법원 통상임금 판결 요지와 쟁점, 지자체별 임금·단체협상 추진 현황 공유, 지자체 간 협력 강화와 공동 대책 등을 모색했다.

시 관계자는 “통상임금 문제와 관련해 지자체 간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시도별 상여금 등 각기 다른 환경에 따른 세부적인 논의 등 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