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살만 만난 트럼프, 850조 투자 유치…전략적 경제 협정 체결

  • 미-사우디 안보 협력 지렛대 삼아 對 사우디 수출·투자 유치 받는 '빅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13일현지시간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13일(현지시간)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UPI·연합뉴스]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와 6000억 달러(약 850조원) 규모의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전격 체결했다.
 
집권 2기 첫 공식 방문국을 사우디로 선택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양국 안보 협력을 지렛대 삼아 대(對)사우디 수출과 투자 유치를 받는 ‘빅딜’을 성사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13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순방 첫날인 이날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한 뒤 에너지, 국방, 자원 등 분야 합의가 담긴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가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약속을 발표하며 앞으로 수세대에 걸쳐 지속될 경제적 유대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백악관은 미국 12개 방산기업이 사우디와 1420억 달러(약 200조원)에 달하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방위 장비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소개했다.
 
이 계약에는 공군 발전 및 우주 능력, 대공 및 미사일 방어, 해상 및 해안 안보, 국경 안보 및 지상군 현대화, 정보통신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과 관련된 장비 등이 포함됐다. 또 미국은 사우디 군대의 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거래에 록히드마틴의 F-35 전투기가 포함됐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미 뉴스위크는 “미국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무기 거래를 통해 사우디,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걸프 동맹국들과 방위 관계를 심화하고 있다”며 “이는 중국과 러시아가 점점 더 주목하고 있는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군사적 입지를 재확인하는 조치”라고 해석했다.
 
아울러 백악관은 민간 분야 협력과 관련해 사우디 기업 데이터볼트가 미국 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데이터볼트는 미국 기업 구글, 오라클, 우버 등과 함께 양국 최첨단 기술에 8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힐인터내셔널, 제이콥스, 파슨스, AECOM 등 미국 기업들이 사우디 킹살만 국제공항과 같은 인프라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미국의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20억 달러의 수출이 이뤄질 것이라고 백악관은 덧붙였다.
 
이와 더불어 GE버노바의 가스 터빈과 에너지 솔류션 수출(이상 142억 달러 규모), 보잉 737-8 여객기 수출(48억 달러 규모)이 이뤄질 것이며, 보건분야에서 샤메흐 IV 솔루션즈가 미시간주의 공장 건설을 포함해 58억 달러 규모를 미국에 투자할 예정이다.
 
5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 투자펀드, 50억 달러 규모의 항공우주 및 방위기술 펀드, 4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스포츠 펀드 등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미 투자와 관련한 투자 파트너십도 이번 패키지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이번 협정 체결 계기에 에너지 관련 양해각서, 미래 방위 능력에 대한 의향서, 광물 자원에 관한 양해각서, 법무 협력 양해각서, 우주 및 감염병 관련 협력 합의 등 다양한 부대 합의에도 서명했다.
 
그뿐만 아니라 두 정상은 사우디군의 현대화와 발전을 위한 합의도 체결했다.
 
 엔비디아, 사우디에 AI 칩 1만8000개 공급…스타링크 사용 허가도
 
AI 칩 선두주자인 미국의 엔비디아는 사우디에 자사 칩 1만8000개 이상을 공급하기로 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현지 기업 ‘휴메인’과 최신 AI 칩 공급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황 CEO는 이날 발표에서 자사의 최신 AI 칩 중 하나인 GB300 블랙웰 칩을 휴메인에 1만8000개 이상 판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칩은 사우디 내에 건립되는 500MW(메가와트)급 데이터센터에 탑재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방문에 미 주요 기업 CEO로 동행중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사우디 정부로부터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양 사용을 승인받았다고 전했다.
 
스타링크는 머스크 CEO가 소유한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다. 이번 승인으로 스타링크는 사우디 내 항공기나 선박에 위성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머스크CEO는 사우디에 테슬라의 자율주행 로보택시를 도입하겠다는 계획도 간단히 언급했다.
 
이날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무함마드 왕세자는 가자지구와 휴전, 시리아 정세 안정, 이란 핵프로그램 해체 방안, 유가 안정 등 중동의 여러 안보 현안도 의제로 다룬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6일까지 나흘간 사우디에 이어 카타르, UAE를 잇달아 방문한다.
 
지난 1월 대통령 취임 뒤 첫 해외 공식 순방 일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도 사우디를 첫 해외 방문국으로 선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