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회생 개시 후 노사 첫 대면..."구조조정 없어" vs "회생 아닌 청산절차"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 MBK파트너스 앞에서 마트노조가 홈플러스 측의 일부 점포 폐점 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 MBK파트너스 앞에서 마트노조가 홈플러스 측의 일부 점포 폐점 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 개시 후 처음으로 노사 간 협의회를 진행했지만 노조는 경영진이 회생보다 청산에 주력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22일 홈플러스와 노조는 전날 오전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에서 경영진과 노동조합 지도부 간 협의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회사 측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를 비롯해 경영진 3명과 홈플러스의 마트노조와 일반노조 지도부 4명 등 총 7명이 참여했다. 이번 협의회는 지난 3월 4일 회생절차를 개시한 후 처음으로 노사가 얼굴을 마주한 것이다. 

회사 측은 "이번 회생절차 진행과정에서 고용안정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으며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며 "회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익성을 개선해 지속 가능한 사업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은 무엇보다 회생이 가장 우선으로 회사를 정상화하고 직원들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사측은 회생절차 개시 이후 소상공인 상거래채권 상환을 우선적으로 상환하면서 협력사의 신뢰를 회복하고 납품이 안정화되면서 두 달이 지난 지금 모든 부분에서 빠르게 안정을 되찾아 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 지부 측은 이번 간담회에 대해 "실질적인 협의는 커녕 갈등만 재확인한 회의"라고 평가했다.

노조는 사측의 17개 점포 계약 해지 통보에 대해 언급하며 "회생이 아닌 사실상 구조조정과 청산 절차"라고 주장했다. 또 "천안 지역 두 점포 폐점만으로도 최소 200명의 고용이 흔들리는 데 이를 인근 익스프레스 매장으로 흡수하겠다는 것은 현장을 무시한 탁상행정"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사측의 일방적 계획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 관계자들은 이번 간담회가 실질적 협의가 아닌 김 부회장의 일방적 설명과 책임 회피성 발언이었다고 주장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61개 임대점포 중 17개 점포에 대해 임대료 조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해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합의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해당 점포 직원에게는 '고용안정지원제도'를 적용해 인근 점포로 전환 배치하고 소정의 격려금을 지급하겠다고 했다.

한편, 서울회생법원은 홈플러스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다음 달 12일에서 7월 10일로 연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