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유해 6위, 머나먼 이국 땅에서 조국 품으로

  • 문양목 지사 등 미국·브라질·캐나다 안장 독립유공자 유해 6위 봉환

  • 1946년 유해 봉환 시작 후 이번 6위까지 총 155위 유해 봉환 이뤄져

문양목 지사 사진국가보훈부
문양목 지사 [사진=국가보훈부]

 
머나먼 이국 땅에 안장된 독립유공자 6명의 유해가 광복 80년 만에 그리던 조국의 품으로 돌아온다.
 
7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광복 80년을 맞아 문양목 지사(1995년 독립장)를 비롯해 미국과 브라질, 캐나다에 안장된 독립유공자 6명의 유해를 국내로 봉환한다.
 
유해봉환이 이뤄지는 독립유공자 중 문양목 지사는 1905년 조국을 떠난 지 120년 만에 꿈에 그리던 고국으로 돌아오게 된다. 문 지사는 충남 태안 출신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의 전신이었던 대동보국회를 설립했고, 장인환․전명운 의사 재판후원회를 결성해 지원에 앞장섰으며 대한인국민회 총회장을 역임하는 등 일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특히 보훈부는 문 지사의 경우, 이장에 대한 권리를 갖는 유족이(배우자, 형제, 부모, 자녀)없는 관계로 유해 봉환을 위해 미국 법원을 상대로 파묘와 이장 청원 소송을 제기했으며, 교민 1000여명의 서명서 제출 등 1년 정도의 끈질긴 노력 끝에 승인 결정을 받아내 유해봉환이 전격 성사됐다.
 
이 과정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 관련 법률로 파묘 등을 위해 법원 결정이 필요하다는 소식을 접한 최홍일 변호사가 무료 변론을 자임하면서 각 주의 판례 등을 전면 조사하는 등 법원 승인 결정에 큰 기여를 했다.
왼쪽부터임창모 김기주 김덕윤 김재은 한응규 지사 사진국가보훈부
(왼쪽부터)임창모, 김기주, 김덕윤, 김재은, 한응규 지사 [사진=국가보훈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안장된 임창모 지사는 미국 내에서 3·1운동에 적극 참여했고, 이후 흥사단 단원으로서 활동하고 대한인국민회 임원으로 독립자금 모집에 앞장섰다. 또한, 미국 조지아주에 안장된 김재은 지사와 브라질에 안장된 한응규, 김기주 지사는 광복군에 입대해 활약하다 광복을 맞았다. 캐나다에 안장되어 있는 김덕윤 지사는 일본 유학 중에 비밀결사 ‘열혈회’를 조직해 활동하다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번 독립유공자 유해 봉환은 미국, 캐나다는 물론 지구 반대편인 브라질까지 직접 찾아가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유족들과 협의를 거쳐 이뤄지게 됐다. 유해 봉환 독립유공자 중 문양목 지사와 김덕윤 지사, 김기주 지사는 배우자와 함께 봉환될 예정이다.
 
각 독립유공자의 현지 추모식 일정이 끝나면 유해 봉환반은 독립유공자 유해를 비롯한 유족들과 함께 입국하며, 12일 오후 7시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입국장에서 유해 영접식이 개최된다. 이어, 다음날인 13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유해 봉환식이 거행되며, 이날 오후에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권오을 보훈부 장관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셨던 독립유공자 여섯 분의 유해를 광복 80주년의 뜻깊은 해에 고국산천으로 모시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정부는 문양목 지사님을 비롯한 여섯 분의 귀환을 국민적 예우와 추모 속에 영면하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 유해봉환 사업은 1946년 백범 김구 선생이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의사 등 의열사(義烈士)에 대한 유해봉환을 시작으로, 올해 문양목 지사 등 6위까지 총 155위의 유해가 봉환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