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지식재산권(IP) 가치가 최대 1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K-콘텐츠의 IP 경쟁력이 주목받고 있지만, 문화콘텐츠 기반 상품 판매 실적에서는 한국이 여전히 글로벌 시장에서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새로운 성장 지식재산권의 산업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문화콘텐츠 IP 기반으로 제작된 소매 상품 판매액 기준 상위 50대 라이센서 기업에 한국 기업은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상위권에는 미국 기업이 가장 많이 이름을 올렸다. 전체 50개 중 32개가 미국 기업이었고, 일본 7개, 중국과 프랑스 각 2개, 스웨덴·영국·캐나다·이탈리아·독일·핀란드·덴마크는 각각 1개씩 포함됐다.
이 가운데 월트디즈니를 포함한 미국의 주요 32개 기업이 보유한 IP에서 파생된 수익은 약 2424억5000만달러로, 우리 돈으로 338조원에 달했다.
한국은 이에 비해 IP 기반 굿즈 판매 규모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대한상의는 그 배경으로 원천 IP의 부족과 IP를 다각도로 활용하려는 전략의 부재, 이를 지원할 투자 여력 부족 등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조업 위주의 수출 구조에서 벗어나 IP와 같은 무형 자산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한국 IP 산업화 전략으로 스토리 기반 슈퍼 IP 육성, OTT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IP 주권 펀드 조성, 해외 지식재산권 확보 지원 등을 제안했다.
현재는 OTT 플랫폼이 제작비를 전액 선투자하는 대신 콘텐츠 저작권과 그로 인한 부가가치를 모두 가져가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제작사와 플랫폼이 제작비를 공동으로 부담하고 IP 권리를 함께 나누는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