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미국 신용등급 'AA+' 유지…"관세 수입이 재정약화 상쇄 예상"

  • 향후 등급 전망도 '안정적' 평가…재정 적자 통제 실패 땐 하향 가능성도

사진AFP연합뉴스
[사진=AFP·연합뉴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현행 수준으로 유지했다. 등급 전망도 ‘안정적(stable)’으로 평가하며 단기간 내 조정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S&P는 미국의 장기 신용등급을 AA+로, 단기 등급은 A-1+로 현 상태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등급의 변동 가능성에 대해서도 안정적이라고 진단했다.
 
S&P는 이번 결정에 대해 “국내 및 국제 정책의 변화가 미국 경제의 탄력성과 다양성에 부담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우리의 견해를 반영한다”면서 “우리는 세금과 지출의 감축 및 증액을 모두 포함한 최근의 재정 법안으로 인해 재정이 나빠질 수 있다고 보지만 관세 수입을 포함한 전반적인 수익 증가가 이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망이 ‘안정적’이라는 평가는 재정적자 결과가 의미 있게 개선되지는 않겠지만, 향후 수년 동안 지속적인 악화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리의 기대를 반영한다”고 부연했다.
 
S&P는 미국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력과 신뢰할 수 있는 통화정책, 크지만 더 커지지 않는 재정적자, 그리고 5조 달러(약 6950조원) 규모의 부채한도 증액이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 요인이라고 밝혔다.
 
WSJ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시행이 기업 신뢰와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고, 동시에 인플레이션을 촉발하며 고용 증가를 늦출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S&P의 신용등급 유지 결정이 내려졌다고 짚었다.
 
다만 S&P는 “미국 재정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초당적으로 합의한 목표, 즉 적자를 의미 있게 줄이고 예산 경직성을 해결하는 것은 여전히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무능력으로 인해 지출 증가 억제에 실패하거나 세법 변경으로 인한 세수 영향을 관리하지 못해 재정적자가 증가한다면 향후 2~3년 이내에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치적 행위가 미국 기관의 건전성이나 장기 정책 수립의 효과, 또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독립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면 신용등급은 압박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