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대학가를 중심으로 은밀하게 퍼지고 있는 마약 ‘던지기’ 수법 근절에 나섰다.
시는 다음 달 30일까지를 마약 집중 점검 기간으로 정하고 자치구·경찰·대학과 협력해 유통 점검을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던지기란 판매자가 마약을 특정 장소에 미리 은닉해 두면 구매자가 이를 찾아가는 방식으로 최근 청년층 생활권에서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에어컨 실외기, 계량기함, 화단, 전기차단기 등 주민과 학생 생활 반경 내 시설물이 주요 은닉처로 활용돼 단속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첫 합동 점검은 이날 오전 동대문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대에서 진행됐다. 서울시, 한국외대, 동대문경찰서, 동대문보건소 관계자 등 15명이 합동점검반으로 나서 던지기가 의심되는 시설들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시는 이후 마포구 홍익대학교, 동작구 중앙대학교, 광진구 건국대학교 등 주요 대학가로 점검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장에서 확인된 사례와 동향은 자치구·경찰·대학과 공유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주민과 학생들에게는 의심 정황 발견 시 경찰 112로 신고하도록 안내한다.
온라인 확산 차단도 병행된다. 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 마약 판매 광고를 적발해 차단을 요청하고 글로벌 플랫폼에 선제적 차단 시스템 구축을 요구했다. 시에 따르면 특정 플랫폼 조사 결과 마약류 판매 게시글 162건 중 123건(약 76%)이 ‘필로폰’, ‘대마’, ‘엑스터시’, ‘LSD’, ‘코카인’ 등 명칭을 직접 사용했다.
예방 활동도 강화된다. 시는 상반기 캠페인 경험을 반영해 제작한 ‘마약 예방 캠페인 키트’를 10개 자치구에 배포해 대학 캠퍼스에서 실효성 있는 활동이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 도심 전광판에 예방 영상을 송출하고 시민이 이를 배경으로 찍은 사진을 공유하는 참여형 챌린지를 9월까지 이어간다.
강진용 시 보건의료정책과장은 “이번 점검을 통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약 은닉 수법의 위험성을 알리고 경각심을 높이는 예방 효과도 거두고자 한다”며 “오프라인 유통을 뿌리부터 억제하고 동시에 온라인 불법 광고에 대해서도 철저한 차단 대책을 병행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