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민주노총 중앙위원회는 지난 3일 중앙위원회를 개최하고 국회의 사회적 대화 참여를 확정했다.
민주노총은 1999년 2월 노사정위원회(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탈퇴한 이후 공식적인 노사정 테이블에 줄곧 참여하지 않고 있다.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민주노총의 경사노위 참여에 이목이 쏠렸으나 민주노총은 불참을 고수해왔다.
하지만 우원식 국회의장의 주도로 국회에 사회적 대화 기구 신설 움직임이 일자 민주노총도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앞서 현 정부가 △법정 정년 65세 연장 △주 4.5일제 도입 등 노동 현안을 주요 기치로 내세운 상황에서 노동계의 사회적 대화 참여는 노동 현안 처리에 촉매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정년연장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정년연장 TF를 발족하는 등 의견 수렴이 이뤄지는 상황이어서 사회적 대화 기구가 설립되면 더욱 가속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경사노위의 역할과 중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통령 직속 사회기관인 경사노위는 노사정이 참여하는 공식 협상 테이블이다.
민주노총의 탈퇴 이후 한국노총이 노동계 입장을 대변해왔으나 지난해 12·3 비상계엄 이후 한국노총마저 대화 참여를 중단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