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는 말하기 전에 필요를 예측하고 챙겨준다. 이제는 억만장자나 슈퍼히어로가 아니어도 집이 알아서 돌아간다."
김철기 삼성전자 DA 사업부장(부사장)은 IFA 2025 개막 전날인 4일 '삼성 프레스 콘퍼런스' 인삿말에서 이 같이 말하며 인공지능(AI)가 어떻게 일상을 바꾸는지 자세히 설명했다.
김 부사장은 "고객이 생각하는 '집'에 대한 역할과 요구를 철저히 분석해 편리함, 돌봄, 효율과 안전의 4가지 AI 홈 핵심 경험을 정의했다"며 "이를 '앰비언트 AI' 기반으로 구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IFA 2025' 개막에 앞서 '삼성 프레스 콘퍼런스'를 열었다. 독일 베를린 '메세 베를린(Messe Berlin)' 내 단독 전시장인 '시티 큐브 베를린(City Cube Berlin)'에서 열린 이 행사에는 전 세계 미디어와 파트너 등 약 800여 명이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김 부사장을 포함한 사업 담당자들이 연사로 나서 'AI 홈'을 실현하기 위한 △가전 제품의 '비스포크 AI' △영상 디스플레이 제품의 '비전(Vision) AI' △모바일 제품의 '갤럭시 AI'를 각각 소개하고, 이들이 탑재된 다양한 신제품을 선보였다.

김 부사장은 "집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배우고 적응하는 지능형 파트너'가 되고 있다"며 "삼성 AI 홈은 미래가 아니라 현재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삼성 AI 홈은 기기와 가전을 최적화해 실제 에너지 절감을 이끌어낸다"며 AI 에너지 모드로 각 기기의 소비 전력을 줄이고, 영국·스웨덴·미국 등 전 세계 에너지 기업과 협력해 ‘스마트 커뮤니티’를 확장하고 있다"고 했다.
AI시대 핵심 화두로 떠오른 보안에 대한 자신감도 피력했다. 그는 "집이 점점 연결될수록 프라이버시는 더 중요해진다"며 "삼성은 '녹스 볼트(Knox Vault)'와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라는 다중 보안 체계를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며, 현재 10억 대 이상의 갤럭시 기기와 가전, 비전(Vision) AI 기기를 보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상욱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CX팀 부사장은 삼성 AI TV가 AI가 적용된 리모컨을 통해 어떻게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실행에 옮기는지 직접 시연했다.
이 부사장은 "그저 친구에게 말하듯 하면 된다"며 리모컨에 "보고 싶었던 축구 경기에서 누가 이겼고, 최종 스코어는 어떻게 됐어"라고 소리 내 물었다. 그러자 삼성 AI TV는 원하는 답을 빠르게 찾아 알려줬다. 이 부사장은 "삼성 AI 홈은 실시간으로 여러분에게 학습하고 적응하는 연결된 에코시스템이며, '비전(Vision) AI'는 이 에코시스템의 핵심 부분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뒤이어 진행된 사전 부스투어에서 관람객에게 공개될 다양한 제품을 소개했다. 삼성전자 부스는 'AI 홈, 미래 일상을 현실로(AI Home - Future Living, Now)'라는 주제로 업계 최대 규모인 6235㎡로 꾸려졌다.
참가 업체 중 최대 규모로, 'AI 홈, 미래 일상을 현실로'(AI Home - Future Living, Now)라는 주제로 꾸려진 삼성전자 부스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마이크로 RGB TV'와 턱을 넘어다니는 로봇청소기였다.
마이크로 RGB TV는 115형 대형 스크린에 100㎛ 이하 RGB(빨강, 초록, 파랑) LED를 초미세 단위로 배열한 RGB 컬러 백라이트를 적용해 전에 없던 화질을 과시했다.
중국을 아성을 깨기 위한 로봇청소기도 세계에서 처음으로 공개돼 이목을 집중시켰다. 내년 출시 예정인 삼성 로봇청소기는 4.5㎝ 높이의 문턱을 넘고, 모서리에서 브러시와 물걸레를 뻗어 닦아내는 '팝 아웃' 기능으로 사각지대 없이 청소하는 기능을 뽐냈다. RGB 카메라'와 'IR(적외선) LED 센서'를 탑재해 바닥에 있는 투명 액체와 충전 선을 피해 갔다.
김 부사장은 "향후 3년 내 10억 대의 AI 기기가 전 세계 가정에 확산될 것"이라고 삼성의 AI 홈 리더십을 강조하며 "삼성 AI 홈 경험은 전에 없던 빠른 속도로 고객들의 일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