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마감] 고용 우려 속에도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 다우 0.43%↑·S&P 0.27%↑·나스닥 0.37%↑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UPI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NYSE) [사진=UPI·연합뉴스]

미국 비농업 신규 고용 연간 증가 폭이 예상보다 크게 하향 조정됐지만, 뉴욕증시 3대 주요 지수는 동반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96.39포인트(0.43%) 오른 4만5711.3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7.46포인트(0.27%) 상승한 6512.61, 나스닥종합지수는 80.79포인트(0.37%) 뛴 2만1879.49에 각각 마감했다. 이날 3대 지수는 모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앞서 미국의 고용 사정이 당초 파악됐던 것보다 좋지 않았다는 방향으로 고용 통계치가 하향 조정되면서 투자자들의 경기 관련 우려를 키웠다. 미 노동부는 지난 3월 기준 연간 비농업 신규 고용 증가 폭을 종전 수치에서 91만1000명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취업자 증가는 발표 당시 수치보다 월평균 약 7만6000명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CNBC에 “경제가 약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경기 침체로 가는 길인지, 아니면 그냥 약해지고 있는 건지 잘 모르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하향 조정이 6개월 이전 기간을 대상으로 한 데다, 고용 둔화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키우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이달 17일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100%로 반영했다. 세부적으로는 0.25%포인트 인하 확률이 92%, 0.50%포인트를 인하하는 ‘빅컷’ 확률이 8%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산업·소재·부동산을 제외한 전 업종이 상승했다. 통신서비스 업종이 1.64% 오르며 강세를 이끌었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 초대형 기술주 가운데 브로드컴과 애플을 제외하고 모두 올랐고, 알파벳은 2% 넘게 뛰었다.
 
미국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 코어위브는 인공지능(AI) 관련 기업에 투자할 벤처캐피털 펀드 설립 계획을 발표한 뒤 주가가 7% 넘게 급등했다. 또 다른 AI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네비우스 그룹은 마이크로소프트와 174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계약을 체결하며 주가가 50% 폭등했다.
 
미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는 3분기 투자은행(IB) 부문 실적이 긍정적일 것이라는 임원 전망에 힘입어 1.7% 상승했다.
 
반면 애플은 신제품 아이폰17 라인업을 처음 공개했지만 AI와 관련한 차별화된 성과가 보이지 않았다는 평가 속에 1.48% 하락했다. 미국 미디어 기업 폭스도 머독 일가의 경영권 분쟁이 마무리되면서 6% 넘게 떨어졌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0.07포인트(0.46%) 내린 15.04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