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장관은 지난 9일 서울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기후부) 출범이 다음 달 1일 이뤄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기후부 출범이 '탈원전 재추진' 아니냐는 질문에 "지금은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 탈원전으로 바라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원전 발전 노하우와 재생에너지 비중이 낮은 현실을 고려해 기존 원전을 적절히 믹스할 필요가 있다"며 "탄소 감축 속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면서 원전을 기저 전원으로 재생에너지를 신속히 확대하고 석탄·석유·액화천연가스(LNG)를 대체하는 게 중요하다"고도 했다.
그는 그러나 신규 원전에 대해선 “원전을 신규로 지을 것인지에 대해 국민 공론을 듣고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기후부 역할·기능에 대해 자신감도 내비쳤다. 그는 "환경은 규제, 에너지는 진흥이라는 이분법으로 볼 일이 아니다"며 "산업부와 기후부는 형제 부처처럼 충분히 사전 협력을 해야 하는 중요한 부처"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조직 개편 중 가장 큰 규모로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차관실이 통합되는 일이라 시간이 많지 않지만 체계적으로 잘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발전공기업 개편 문제에 대해 그는 "조금씩 규모를 줄여 나갈 수 있고 5개 발전 자회사를 묶어 줄여가고 신규로 해상풍력이나 다른 재생에너지 사업을 맡을 수 있도록 전환할 수도 있다"며 "에너지 체제 개편 역시 미루지 않고 로드맵을 세워 추진해야 할 과제"라고 했다.
김 장관은 전기요금 체계를 결정하는 전기위원회에 대해선 독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조직개편이 완성되는대로 전기위 독립 문제와 전력망 체계 개편도 대통령실·정부 부처와 협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전 정부에서 추진하던 10개 신규 댐 건설은 절반 수준으로 낮출 방침이다. 온실가스정보센터와 국립환경과학원 등 기후변화 연구 기능을 하나로 모아 기후과학원(가칭)을 만들겠다는 구상도 공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