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부, '탈원전' 아냐…산업부는 형제 부처"

  • "원전 기저전원으로 재생에너지 빠르게 늘릴 것"

  • 전기요금 결정 구조 독립성 강화 필요 입장 피력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환경부 출입기자단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910 사진환경부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환경부 출입기자단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9.10 [사진=환경부]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탈원전'에 대해 거듭 부인했다. 또 에너지 부문을 떼어낸 산업통상부(산업부)와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지난 9일 서울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기후부) 출범이 다음 달 1일 이뤄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기후부 출범이 '탈원전 재추진' 아니냐는 질문에 "지금은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 탈원전으로 바라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원전 발전 노하우와 재생에너지 비중이 낮은 현실을 고려해 기존 원전을 적절히 믹스할 필요가 있다"며 "탄소 감축 속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면서 원전을 기저 전원으로 재생에너지를 신속히 확대하고 석탄·석유·액화천연가스(LNG)를 대체하는 게 중요하다"고도 했다.

그는 그러나 신규 원전에 대해선 “원전을 신규로 지을 것인지에 대해 국민 공론을 듣고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기후부 역할·기능에 대해 자신감도 내비쳤다. 그는 "환경은 규제, 에너지는 진흥이라는 이분법으로 볼 일이 아니다"며 "산업부와 기후부는 형제 부처처럼 충분히 사전 협력을 해야 하는 중요한 부처"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조직 개편 중 가장 큰 규모로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차관실이 통합되는 일이라 시간이 많지 않지만 체계적으로 잘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발전공기업 개편 문제에 대해 그는 "조금씩 규모를 줄여 나갈 수 있고 5개 발전 자회사를 묶어 줄여가고 신규로 해상풍력이나 다른 재생에너지 사업을 맡을 수 있도록 전환할 수도 있다"며 "에너지 체제 개편 역시 미루지 않고 로드맵을 세워 추진해야 할 과제"라고 했다.

김 장관은 전기요금 체계를 결정하는 전기위원회에 대해선 독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조직개편이 완성되는대로 전기위 독립 문제와 전력망 체계 개편도 대통령실·정부 부처와 협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전 정부에서 추진하던 10개 신규 댐 건설은 절반 수준으로 낮출 방침이다. 온실가스정보센터와 국립환경과학원 등 기후변화 연구 기능을 하나로 모아 기후과학원(가칭)을 만들겠다는 구상도 공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