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대표는 1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주식 양도세 대주주 요건 현행 유지는 다행스럽지만, 더센 상법과 노란봉투법 여파는 아직 시작도 되지 않았다"며 "한미 관세 협상 리스크와 금융감독체계를 흔드는 정부조직법 개정안, 금융위 설치법 개정안도 불안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장 대표는 "금융감독체계를 사분오열시키는 모델은 이미 영국과 호주에서 실패한 모델"이라며 "시장에서는 감독체계를 개편하는 게 아니라 '개판'으로 만드는 설계라는 비판까지 나온다"고 꼬집었다.
장 대표는 또 "자사주 의무소각과 디스커버리 제도를 골자로 한 3차 상법 개정안은 취지는 좋지만, 경영권 보호 장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자본시장의 균형만 깨뜨릴 것"이라며 "세법과의 조화, 노동권·경영권의 균형, 건전한 시장감독체계가 확보돼야 코스피 5000이 실현 가능한 목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당근과 채찍을 현명하게 쓸 줄 아는 국민의힘이 코스피 5000 목표를 거품대로가 아닌 탄탄대로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