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평화에너지 프로젝트 등 3대 평화경제전략 제시

  • 9.10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서 밝혀

19일 오전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행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특별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19일 오전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행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특별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3대 ‘평화경제전략’을 제시하며 "경기도가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길을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기념사에서 "김대중 정부가 재탄생의 계획을 세우고, 노무현 정부가 터를 닦은 이곳 캠프그리브스에서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로 평화의 바통이 건네졌다"며 "당장 추진할 수 있는 세 가지 평화경제 전략을 경기도지사로서 제안한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전략은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다.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반도체·AI 등 첨단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그 이익을 경기북부 주민들과 나누겠다는 구상이다.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던 ‘DMZ 내 솔라파크’와 최근 제안된 ‘DMZ 평화에너지벨트’를 언급하며 "경기도가 앞장서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두 번째 전략은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구축이다. 김 지사는 "앞으로 지정될 평화경제특구에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육성해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19일 오전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행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 이재정 전 통일부장관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정동영 통일부장관이 특별토론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19일 오전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행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 이재정 전 통일부장관,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정동영 통일부장관이 특별토론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세 번째 전략은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이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는 캠프그리브스를 비롯해 개발 가능한 반환공여지가 22곳 있다"며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교통 인프라 확충과 규제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9.19 평양공동선언’을 "남북 교류 협력을 촉진하는 가장 구체적인 경제 선언"으로, ‘9.19 군사합의’를 "군사 충돌을 방지하는 실질적인 평화 선언"으로 평가하며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김 지사는 "지난 3년간은 중앙정부와 소통 없이 경기도가 홀로 기념행사를 치렀지만, 올해는 정부와 함께했다"며 "윤석열 정부 시절 ‘망명정부’라 불렸던 경기도가 이제는 마중물 역할을 확실히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비롯해 우원식 국회의장, 문희상 전 국회의장, 정청래 대표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문 전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피스메이커가 되어 달라 요청했고, 자신은 페이스메이커가 되고 싶다고 했다"며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이 지금 이 시기에도 평화의 열쇠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행사에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정세현·이재정·김연철 전 장관 등 역대 정부의 통일정책 수장들도 함께해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특별토론을 진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